원문정보
초록
영어
As much as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connect directly to the contemporary situation, there are diverse viewpoint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facts with concerns from all walks of life.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n, moreover, is distorted frequently resulting from the partisan politics.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History Textbook by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is the typical example not to guarantee fully the political neutral. The paper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Korean History Textbooks issued two times based on the educational progress and Description Criteria for history textbook as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ystem of the descriptions and the contents. The textbooks are less non-organized or scanty immensely than the previous textbooks in the respect of the description system: by times, by subject, by key points, by sections, by study sub materials and so on. Study sub materials, especially, are sunk in the balance of arrangement and objectivity. and they don’t seem to cause interesting enough to learners for maximizing the learning effect that leads to cultivate historical imagination. In the aspect of description, also the textbooks have a strong government-designated tone to infuse and to propaganda the conventionality of the police power. There are projected the intention of the third educational progress to carry out the education for justifying the October Revitalizing Reforms of Park Jeong Hee Government. The textbooks that the main materials for the class have to write to cultivate the correct historical awareness through suggesting diversified interpret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evaluation and meaning, based on the objective description on historical events. The textbooks, however, directed by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according to this research, are evaluated to harm the fundament of history education under investing biased and unilateral explanation and relevance.
한국어
한국 근⋅현대사의 전개과정은 현실의 상황과 직결되어 있는 만큼 각계각층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역사적 사실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양하게존재하고 있다. 더군다나 교과서의 한국 근⋅현대사는 정치권의 당리당략으로 말미암아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받지 못한 채 편향되거나 왜곡되는 사태가 빈번하게 벌어졌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제3차 교육과정기의 국정 『국사』 교과서였다. 이에 본고는 이 시기 교육과정과 집필기준을 토대로 두 차례에 걸쳐 발행된 『국사』의 근⋅현대사 서술체제와 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성격을 살펴보았다. 『국사』는 서술체제면에서 시대별⋅영역별⋅주요사항별 비중, 단원구성, 그리고 학습보조자료 등이 그 이전의 교과서보다 짜임새가 없거나매우 빈약하였다. 특히 학습보조자료는 배치의 형평성과 객관성이 결여되었을 뿐 아니라 본문과 짝하면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역사적 상상력을 배양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판단되지도 않는다. 이러한의미에서 『국사』 국정교과서는 자격 미달이라고 생각된다. 『국사』는 서술내용면에서도 정권의 정당성⋅정통성을 학생들에게 주입⋅선전하려는 국정교과서의 색채가 짙었다. 박정희 정권의 10월 유신을 정당화하면서 그에 걸맞은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마련된 제3차 교육과정의 의도가 투영되었기 때문이다. 교과서는 수업의 기본 교재인 만큼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서술하되 역사적 사실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평가 및 그 의의를 소개⋅제시함으로써 올바른 역사인식을 기를 수 있도록 집필되어야 한다. 그러나 『국사』는 명백한 사실마저 왜곡했을 뿐 아니라 편파적이고 일방적인 해석과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오히려 역사교육의 본질을 훼손하였다고 판단된다.
목차
Ⅱ. 『국사』의 근⋅현대사 서술체제 변화와 그 특징
Ⅲ. 『국사』의 근대사 서술내용 변화와 그 의미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