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제3차 교육과정과 국사교과서 서술

제3차 교육과정기 교육이념과 인간상

원문정보

Ideal of Education and Human Character in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Period

김한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purposed to explore the ideal of education and human character which Park Chung-hee government pursued in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Period, and then analysed to policies for accomplishing such purpose. Ideal of education reflect political purpose, but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don’t usually specify them clearly. Nevertheless, Park Chung-hee government exposed such purpose in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Ideal of Education in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Period was based on development education, which put the development of the state at the forefront and identified individual person and society with state. The purpose of education was to develop human wh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the state. Park Chung-Hee government tried to seek the foundation of such the logic of education different from the logic of economical development. Park Chung-Lee government tried to internalize its own ideal of education in people’s mind. So, it made practices of ideal of education in everyday life and increased chances of encountering symbols of the ideal to achieve this purpose. Sites of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was reorganized and made of educating nation people’s places. Value inquiry laid stress on more than fact inquiry, though standing on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But the achievement of such purpose is uncertain.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eaching by rote disturbed to pupils’ internalizing ideal of education, and such educational policies was criticized by many people. The ideal of education and pursuing human character in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period was not begun in this time but was the same under Park Chung-Lee government, and had been regularized since late 1960s.

한국어

이 글은 제3차 교육과정기 박정희 정부의 교육이념과 교육을 통해 기르고자 했던 인간상이 무엇이며, 학교교육이나 사회교육에서 이를 어떻게 관철시키고자 했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육이념은 국가나정부가 교육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정책적 의지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지만, 국가교육과정에 이를 명시적으로 드러내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제3차 교육과정기는 교육정책은 물론 교육과정 문서에서도 이런 의도가 상대적으로 명확히 드러난다. 제3차 교육과정기 교육이념은 국가의 발전을 최우선에 두고, 개인과사회, 국가를 일체화하는 발전교육의 관점을 기반으로 한다. 교육은 인간을 발달시키는 것이지만, 이때 인간은 국가발전에 도움이 되는 인간이었다. 그렇지만 경제성장의 논리와는 달리 그 기반을 전통문화와 정신에서 찾았다. ‘주체성’이나 ‘(한)국적’이라는 구호와 정치 논리가 가장 잘반영된 것이 교육 분야였다. 교수학적으로 학문중심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면서도 사실탐구 못지않게 가치탐구를 중시한 것에서도 제3차 교육과정기 교육의 이런 성격이 나타난다. 박정희 정부는 학교와 사회교육을 통해 교육이념이 추구하는 가치관을 사회구성원에게 내면화하고자 하였다. 교육이념의 실천을 일상생활화 하고 학생이나 일반대중이 교육이념의 상징물과 접촉할 수 있는 경험을 최대한 늘리고자 하였다. 국난극복의 자취를 재정비하여 국민교육의현장으로 삼은 것도 그 방법이었다. 그러나 사람들에게 이런 교육이념이 실제로 내면화되었는지는 의문이다. 열악한 학교교육의 환경과 주입식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교육이념을 주체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게 했다. 교육이념의 일방적 전달과 주입이 오히려 정치적 목적에 순응하는 인간을 길러내려는 정권의 의도를가로막는 역설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시책은 권력 장악을 정당화하고 체제를 합리화하는 정치적 목적이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제3차 교육과정기의 교육이념과 인간상이 이때 처음 시행된 것은 아니었다. 이런 교육이념은 박정희 정부 집권 이후 마찬가지였으며, 학교교육 정책에서도 196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되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제3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육이념의 개념과 인간상
Ⅲ. 국가를 앞세우는 발전론적 교육이념과 인간상
Ⅳ. 교육이념의 내면화 추구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김한종 Kim, Han-Jong.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