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Fear of Fall and Fall Efficacy in the Elderly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for exami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a local community, investigating factors for the fear of fall and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ar of fall, attitude to fall and fall efficac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40 senior citizens who are using a community center in D c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WIN 21.0 program.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ear of fall according to gender, person living togeth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pain and unsafe gai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ear of fall and fall fear and fall efficacy. However, fall fear and fall efficacy were positive correlat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necessary preliminary data for developing fall prevention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fear of fall, attitude to fall and fall effica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한국어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을 조사하여, 낙상두려움 요인을 규명하고, 낙상두 려움, 낙상태도 및 낙상효능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의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140명이었다.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별, 동거인, 주관적 건강상태, 통증, 불안전 한 걸음걸이에서 낙상두려움의 차이가 있었다. 낙상두려움과 낙상태도(r=-.396, p〈.001), 낙상두려움과 낙상효능감 (r=-.184, p=.030)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낙상태도와 낙상효능감(r=.411,〈,001)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낙상두려움, 낙상태도 및 낙상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낙상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2.3 연구 도구
2.4 윤리적 고려
2.5 자료 분석
3. 연구 결과
3.1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낙상두려움
3.2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낙상두려움
3.3 낙상태도 및 낙상효능감 점수
3.4 대상자의 낙상두려움, 낙상태도 및 낙상효능감의 상관관계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