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olor preference of the rose, chrysanthemum, and carnation which are consumed most in Korea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with gender, age, and occupa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target is classified into Seoul and metropolitan area; Seoul is divided south and north, and metropolitan is divided east and west. and this target is also divided by quota sampling as gender, age, and occupational background. The research materials are treated with statistic proces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cross analysis process, and used significance test with them. As the results, the color preference of rose, chrysanthemum, and carnation is clearly identified. For the both rose and carnation, red is the first, and pink is the second. For chrysanthemum, yellow is the first and white is the second. Among the reasons of preference, splendor is the fist for rose and carnation, and the second for chrysanthemum. Therefore, we can see the splendor of the color affects the preference of flowers. In this research, the survey also shows that people do not like blackish red, green, and yellow-green color for rose, chrysanthemum, and carnation, and it’s reason is people feel stuffy in these colors. Therefore, this shows that human feel the color of the flower as a medium of the splendor, freshness, and liltingness. This survey also shows that the preference order of the flower among these three flowers as rose, chrysanthemum, and carnation, especially, rose in spring, summer, and winter, and chrysanthemum in autumn. Moreover, the color, gender, age, and occupation have relationship with preference and nonpreference of the colors in this survey, so this research verifies the significance on thi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장미, 국화, 카네이션 꽃의 색채에 대 한 선호도를 조사하고 그 와 관련된 성별, 연령별, 직업별 관련성을 파악 하는데 있다. 질문지 배포 대상은 서울은 강남·북, 수도권은 동·서로 구분하여 성별, 연령별, 직업별로 고 루 분포되도록 할당표출 하였고,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통계처리 하고 교차분석을 통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조사 결과 장미, 국화, 카네이션의 색상에 대한 1, 2위의 선호도는 장미와 카네이션에서 빨 강색과 분홍색으로 같은 경향이었고 국화에서는 노랑색과 흰색을 선호하였다. 선호하는 이유 로는 화려함이 장미와 카네이션에서 1위, 국화에서는 2위로 나타나 꽃의 선호도는 색채의 화 려함이 주된 요인임을 실증하고 있다. 장미, 국화, 카네이션에서 싫어하는 색채는 검붉은색, 초록색, 연두색으로 답답함을 이유로 든 것으로 보아 인간은 꽃을 통하여 화려함과 시원하고 경쾌함을 얻는 매개체로 역할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장미, 국화, 카네이션의 순서로 선호하였고, 봄, 여름, 겨울에는 장미, 가을엔 국화를 선호 하였다. 색채의 선호, 불호의 항목에서 대체적으로 성별, 연령별, 직업별로 의견에 차이를 보여 연관 된 유의성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
2. 가설
3. 연구 내용
4. 연구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색채의 연상과 상징
2. 색채 심리
3. 꽃
Ⅲ. 결과 분석
1. 일반적 특성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꽃의 선호도에 대한 의견 연관성 검증
Ⅳ. 결론
국문초록
참고문헌
질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