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emotional stability, sociality and self-esteem of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s as the problems of parenting are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due to emotional maladjustment of children due to family community collapse. This is an experimental design study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emotional stability, sociality and self-esteem based on respect for lif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mong 22 students in the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P cit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15, 2016 to November 15, 2016. Six stress index and HTP test were used as problem diagnosis tools before and after treatment.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stress index of children was lowered through horticultural therapy in 7 sessions, and the change of characteristics in HTP test was confirmed. It was found that horticultural therapy improves self-confidence and control anger, and has patience and a sense of life. In the future, if we apply horticultural therapy to art and practical subjects at the school site, it is meaningful that we can expect to improve relationship among classmates, social skill and learning ability.
한국어
본 연구는 가족공동체 붕괴로 인하여 정서적 부적응을 보이는 문제행동 아동들에게 원 예치료가 정서 안정, 사회성 및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 설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생명존중 의식을 바탕으로 대상 아동들의 정서안정, 사회성 및 자아존중감 증진에 두었다. 연구 대상자는 P시의 M초등학교 3학년 A반 아동 22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3명, 대조군 19명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15일부터 2016년 11월 15일까지이다. 대상아동의 심리적 신체적 진단 도구로서 6가지 스트레스 항목 표와 HTP 검사기법을 사 용하였고, 7회기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적용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7회기의 원예치료를 통하여 아동의 스트레스 지수가 낮아지고,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HTP 검사에서 그림에 변화가 확인되었으며, 원예치료를 통하여 자신감과 분노조절 및 인내심과 같이 긍정적 정서가 증진 및 안정되었으며, 사회성 등이 향상되었 고 아울러 생명존중 의식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학교 현장에서 교과목에 원 예치료를 접목한다면 급우들 간의 관계 개선, 사회성과 학습 능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문제제기
2.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원예치료
2. 가족공동체 붕괴와 문제아동의 특성
Ⅲ.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2. 연구 대상자
3. 원예치료 프로그램
4. 원예치료 평가도구 및 측정방법
Ⅳ. 실험결과 분석
1.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문제아동의 정서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2. 원예치료 프로그램 적용 전· 후의 HTP검사 결과분석
3. 관찰에 의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과정 전·후 결과분석
Ⅳ. 결론
국문초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