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Influence of Absorption Capacity of SMEs on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초록
영어
According to the data released by the Ministry of Small Business and Venture Business, the average ratio of successful R & D projects from 2013 to 2017 is only about 48%. One of the causes of this problem is the lack of strategic research on market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urrent research attempts to identify the conditions under which SMEs can succeed in developing new products. The data used in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200 SMEs in Korea. The companies surveyed were selected as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the company information database of 500,000 companies. Each participant selected one person responsible for planning, marketing,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new product development. As a result, the absorption capacity of SMEs related to new product develop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new products. In this process, it i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marketing-R & D interface of SMEs and exploratory 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serve as mediators. This study not only provides strategic implications for SMEs to succeed in developing new products, but also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SME R & D support policies at the government level.
한국어
최근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중소기업이 추진한 연구개발(R&D)이 성공적으로 사업화된 비율은 평균 약 48%에 불과하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 중 하나로 연구개발에 있어 마케팅 측면에서의 전략적 검토가 부족한 점을 들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중소기업이 신제품 개발에 성공할 수 있는 선행 조건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국내 중소기업 200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 기업은 국내 50만여 기업체의 기업정보 DB에서 편의표본 추출 방식으로 선정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각 기업에서 신제품개발과 관련된 기획, 마케팅, 연구개발 분야 책임자 중 1명을 선정했다. 조사 결과, 중소기업의 신제품개발 관련 흡수역량이 신제품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과정에서 중소기업의 마케팅-R&D협업정도와 탐험적 신제품개발전략이 매개변수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게 신제품 개발을 성공하기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뿐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 중소기업 연구개발 지원 정책을 수립하는 데 방향을 제시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1. 중소기업의 흡수역량
2. 중소기업의 마케팅-연구개발 협업 정도와 탐험적 신제품 개발 전략
Ⅲ. 연구방법 및 실증분석
1. 조사설계 및 구성개념 측정
2. 신뢰성 및 타당성
3. 연구가설의 검증
Ⅳ. 결론
1.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