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預修齋와 各拜齋의 同異

원문정보

The Sameness and Difference between Yesujae and Gakbaejae

예수재와 각배재의 동이

이성운

한국정토학회 정토학연구 제30권 2018.12 pp.199-23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writing considers the sameness and difference between Yesujae(預修齋, performing the rites while one lives in order to be reborn in the Buddha’s land after death) and Gakbaejae (各拜齋; one type of the rites for the spirit of the dead) whose main text is Yesujaesiwangsaengchilgyeong(預修十王生七經). The Ten kings who are in the charge of judgement of the dead are invited and served offering in both rites and there are the sameness and difference in their purpose, program, whom it may concern and their role, origin and filiation, Yesujae is the rite that one performs the ceremony of every seven days during 49 days while one is alive to be reborn in the Buddha's land after one's death and Gakbaejae is the rite that living others perform the consolation ceremony for the spirit of the dead to be reborn in the Land of Bliss by the grace of Buddha. But both have the same purpose that one wishes for the deceased to reborn in the Pure Land. The fake money ceremony for the deceased to repay the debt in after life(造錢儀式) and the ceremony for burning the sealed confirmation of repayment of the debt in past life (緘合疏) are performed and the Keeper of the underworld safe (庫司官) is called in Yesujae. Dharma talk is peformed in order to work on virtue of the deceased, and the witnesses of the three holy sages, the Ten kings and their dependents are called in Gakbaejae. As in Suryukjae(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the ceremony of calling the deceased(召請儀式) is performed in Yesujae but the deceased is called as a member of the dependents in Gakbaejae, as the dead has already departed this life. Although Fengdu the Great and Taishan Fujun in Chinese netherworld belief appear in both rites, they are not significant. It may be because there are Buddha and Bodhisattvas superior to them. The role of Ksitigarbha Bodhisattva is similar in both rites but a subtle difference is that his relief is emphasized in Yesujae and his embodiment in Gakbaejae. Similarly for the King of the netherworld, his majestic ornamentation of the land is highlighted in Yesujae while his judgement in the land of the dead in Gakbaejae. Both succeed to the offering ritual oration for land and water but the ritual oration of the latter is to invite the Ten kings to offerings, which is influenced by Gweongongjebanmun(勸供諸般文, Outline of Buddhist Rituals for invitation to offerings). Gayoung(歌詠, Buddhist music and hymns praising the virtue and merits of Buddha and gods) in both rites conforms to Gweongongjebanmun but Gesong(偈頌, Buddhist stanza) of Goa(故我, therefore I) which Gweongongjebanmun doesn’t contain is chanted in Yesujae. Yesujae was published in the 16th century but the birth and death date of its compiler,Daewoo is said to be the 17th century. This disagreement gives us the challenge to examine research material and study the time of publication of Yesujae, its filiation and influence relationship.

한국어

이 논문은 『예수시왕생칠경』을 소의경전으로 하고 있는 예수재와 각배재가 어떻게 같고 다른지를 살펴본 글이다. 사후 심판을 한다고 믿는 명부 시왕을 청하여 공양을 올리는 예수재와 각배재의 同異는 兩齋(예수재와 각배재)의 목적이나 구성, 양재에 등장하는 諸位와 그 役割, 양재의 系統과 底本 등의 同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預修齋儀는 자신의 사후 칠재를 내가 닦는 자행의 의례이고, 各拜齋儀는 다른 이들이 다른 이를 천도하기 위해서 설행되는 대타성이 강한 의례이지만 정토에 왕생하고자 하는 목적은 양재가 동일하다. 예수재에는 造錢儀式이나 緘合疏 등이 행해지고 庫司官이 所請되지만 각배에는 설법의식으로 망자의 공덕을 지어주며 證明 三聖과 十王과 그 眷屬의 召請으로 구성된다. 예수재에서는 수륙재에서와 같이 사자의 召請儀式이 설행되나 각배재의에는 使者도 그 권속으로 청해지고만 있을 뿐이다. 사후이므로 망자가 저승에 이르렀으므로 그렇다고 보인다. 한편 풍도대제와 태산부군이라는 중국의 명부신앙이 양재에 등장하나 의미가 크게 드러나지 않는데, 상위의 증명 불보살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지장보살의 역할은 유사하지만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데 예수재에서는 지장보살의 구제가 강조되고 있는 데 비해 각배재의에서는 지장(地藏)의 體現이 강조된다. 염라왕의 경우도 예수재에서는 현실적인 國土莊嚴이 강조되는 데 비해 각배재에서는 冥界의 審判性이 강조되고 있다. 兩齋 共히 수륙의문을 잇고 있다고 보이지만 각배재의 경우는 十王勸供 儀文이라고 할 수 있는 『勸供諸般文』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보인다. 歌詠의 경우는 양재 공히 『권공제반문』을 따르고 있는데 『권공제반문』에 없는 故我偈頌이 預修齋儀에 나타나고 있다. 예수재의 16세기 간행과 집술자 대우의 17세기 생몰설에서 오는 차이는 향후 자료발굴과 함께 예수재 의문의 집술 시기와 계통 및 영향 관계 연구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고 있다.

목차

한글요약
Ⅰ. 緖言
Ⅱ. 目的과 構成ㆍ設行의 同異
Ⅲ. 諸位의 召請과 役割의 同異
Ⅳ. 系統과 底本의 同異
Ⅳ. 結語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성운 Lee, Seong-woon.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