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강화 천도기(遷都期) 문인 지식인의 현실 대응 논리와 작품 세계 - 최자의 「삼도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ality awareness attitude and work world of literary intellectual in the Gangdo(江都) period as a goryeo(高麗) capital - Focusing on Choi-ja(崔滋)'s ‘samdo-bu(三都賦)’ -

이민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ngolia invaded Goryeo(高麗) in the Military regime. The Choi's regime moved the capital from Gaegyong(開京) to Ganghwa(江華) and continues the Goryeo-Mongolia War. In Ganghwa, which was the capital of Goryeo for about 40 years, the best literary intellectuals of the day were active. The most representative work is Choi-Ja(崔滋)'s “Samdo-bu(三都賦)”. “Samdo-do” is the work that best shows Choi's unique work world as a literary intellectual in the period of Ganghwa capital. When we refer to the Literary Criticism, Bohanjip(閑集集) written by Choi, we can understand the “Samdo-bu” properly. Unlike the previous generations of literary intellectuals such as Lee-Inro(李仁老), Yu -Seongdan(兪升旦), and Lee-Kyubo(李奎報), Choi-Ja had a rational Confucianism, sentimentalism, and a perception of reality. “Samdo-bu” is well known for his ideas and perspectives. The “Samdo-bu” consists of the dialogs among the three people, Byeonsaeng(辨生) from Pyongyang(平壤), Damsu(談叟) from Gaegyong(開京), and Jeongui-daebu(正議大夫) who lives in Gangdo(江都), where the three people meet each other and boast and criticize each other's past and present capitals. By the way, “Samdo-bu” is not simply a praise for moving the capital to Ganghwa. Rather, this work has a dream of Choi-Ja, who dreamed of an ideal conscience while laying down his life under the military regime. The three men boasted of the three capitals and refuted it, showing what the viewpoint of the Confucian scholar Choi-Ja had in common. However, the consciousness of actively seeking to overcome the real situation as a magistrate in “Samdo-bu” does not seem well. It is only a matter of being a literary intellectual who seeks to pursue the realization of kingdom politics by introducing frugal and compassionate people. Nevertheless, we can confirm the world view of Choi-Ja, as a literary scholar, who maintained his vision of reality in his own agony while suffering from the historical ups and downs in his “Samdo-bu”. There is no other way to refer to “Samdo-gu” as a masterpiece that shows all aspects of the intellectual who produced Gangwha literature in the period of Gangwha capital. This is because “Samdo-bu” shows 'conscience of intellectuals who are awake' under the military regime in the period of Ganghwa capital.

한국어

「삼도부(三都賦)」는 강화 천도기(遷都期) 문인지식인이었던 최자(崔滋)의 고유한 작품세계를 잘 보여준다. 「삼도부」는 평양 출신의 변생과 개경 출신의 담수, 그리고 강화에 사는 정의대부, 이렇게 3인이 만나 각기 과거와 현재의 수도를 자랑하고 비판하며 대화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진 작품이다. 그런데 「삼도부」는 평양과 개경을 대비해 단순히 강화 천도를 예찬하거나 강도(江都)를 자랑하기 위한 목적에서 지어진 작품이 아니다. 오히려 최씨 정권 하에 목숨을 부지하면서 소극적으로나마 이상적인 양심을 꿈꿨던 최자의 이상을 담고자 한 작품에 가깝다. 세 사람이 세 수도를 자랑하고 이를 반박하는 변론 내용에서 문신인 최자가 평소 갖고 있었던 유학자적 관점이 잘 드러나 있다. 최자가 쓴 문학비평서인 『보한집(補閑集)』에 담긴 그의 문학론을 참고할 때, 「삼도부」를 보다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이전 세대 문학지식인인 이인로, 유승단, 이규보 등과 달리, 최자는 합리적 유교주의와 문치주의 의식과 현실 인식 태도를 갖고 있었다. 그의 이러한 사상과 관점이 「삼도부」에 전략적으로 구현되어 있음을 본고에서 밝혀 논하고자 했다. 최자의 「삼도부」를 통해 무신 정권과 몽골 침입과 같은, 대내외적 역사적 부침 속에서 고뇌하고 그 나름대로 현실대응의 시각을 견지했던 문인지식인의 세계관을 확인할 수 있다. 「삼도부」야말로 최씨 정권 하 강화 천도기에 ‘깨어 있는 문인지식인의 양심’의 일단을 보여주는 작품이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강화 천도기 문인지식인의 면면
3. 최자의 「삼도부(三都賦)」 와 현실 대응 논리
3.1. 「삼도부」 작품 세계의 특징
3.2. 「삼도부」를 통해 본 현실인식 태도
4.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민희 Lee, Min-heui. 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