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순자에 보이는 마음의 중층적 양상과 수양 문제의 대두 -­ 「수신편」, 「해폐편」 그리고 「정명편」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wo Fold Aspects of Mind and the Rise of Cultivation in Xunzi’s Thought, treated mainly through Xiūshēnpiān, Jiěbìpiān and Zhèngmíng of his Writings

이명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ole of mind is very important in Xunzi’s thought. The way is permanent rule of politics that is under the control of mind which is recognizing organ for both thinking and acknowledging things in his thought. Nevertheless the mind in Xunzi’s thought has desire as an organ of body to be controlled. On the other hand, the mind has conflicting two fold aspects in the course of its recognition of things like storage and vacancy, movement and calmness, and two kinds of recognizing opinion against one object. And there are various evils in thinking system of mind. In a sense, the mind of human is to be cleaned and cultivated. Xunzi proposed managing energy and cultivating mind as a thinking system. Mengzi proposed to enliven vast-flowing energy and to cultivate mind through shortening desire, while Xunzi did managing energy and caring about mind for controlling other body systems and publicly recognizing things. In Xunzi’s idea the mind in the recognition of things is similar to the water in bowl as a mirror for looking at any things, and thus it is imperative for us to sink grounds in mind for becoming good water mirror. In this need the grounds of human mind would be to be sunk and also the cultivation of it would be to be demanded. Ultimately there should need the recognition of mind that is cleaned and cultivated for brightly discovering the great principle and recovering the unchangeable way with a view to preparing the condition for national peace. This thesis, in this context, to approach the meaning of mind, its two fold aspects, and the necessity of it.

한국어

순자철학에서 마음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순자에게 도란 정치의 영원하고 항구적인 법칙인데, 그 도는 마음이 주재한다. 그런데 마음은 사유 활동과 사물에 대한 인식 기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음은 조절되지 않으면 안 되는 욕구를 지닌 몸이다. 또 한편으로 마음은 인식 측면에서 저장과 비움, 움직임과 고요함, 하나에 또 하나의 두 갈래의 중층적 양상을 지닌다. 그런 마음의 꾀인 심술(心術)에는 여러 가지 가림의 폐단이 있다. 이런 점에서 마음을 닦고 기르기가 요구된다. 순자는 치기양심(治氣養心), 몸 차원의 기를 다스리고 사유 기능의 마음을 기르는 수양을 제안하는데, 맹자가 도덕심 함양을 위한 욕심 줄이기나 호연지기 기르기를 중시했다면, 순자는 신체기관을 거느리고 공적인 인식을 위해 마음 기르기를 요청하였다. 순자의 생각에 마음에는 인식 측면에서 마치 그릇의 물이 만드는 수경(水鏡)과 같은 면모가 있다. 그래서 물에 내재하는 찌꺼기를 가라앉히지 않으면 사물의 이미지를 제대로 반영할 수 없다. 이런 맥락에서 마음의 폐단을 제거하야야 하며, 그런 차원에서 수양 또한 필요하다. 궁극적으로 국가의 안정을 위한 이치를 밝히고 떳떳한 도리를 회복하기 위해 마음은 중층적(重層的)이어서는 안 되며, 이에 수양의 문제가 대두된다. 이 논문은, 이런 문제의식에서, 순자철학에 나타난 마음의 의의, 그 중층적 양태, 그리고 수양의 필요성에 대하여 접근한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실마리 글
Ⅱ. 심리 욕구와 신체기관의 군주로서 마음
Ⅲ. 마음에서 인식의 두 갈래, 폐색 그리고 그 해소
Ⅳ. 마음을 왜 어떻게 수양하는가?
Ⅴ. 맺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명수 Rhee Myung-Su.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