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시대 봉은사 수륙재의 역사적 전개

원문정보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water and land ceremony performed by Bongeunsa temple in Joseon Dynasty

탁효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water and land ceremony performed by Bongeunsa temple in the Joseon Dynasty. The Bongeunsa temple was originally a hermitage named Geungseongam, which was located in the Hakdang-dong, Gwangju County, Gyeonggi Province. After that, Geungseongam was named as Geungseongsa temple. Geungseongsa temple was left in that position and acted as the Temples belonging to Royal Tombs(陵寢寺, TRT) of the King Sungjong, later the name of the temple was changed to Bongeunsa Temple. As a result of movement of the royal tomb of the Joongjong(靖陵) next to the royal tomb of Sungjong, the Bongeunsa was also used as a TRT of the Seonjeongneung royal tomb. After that, the grandson of the King Joongjong, crown prince Soonhoe early passed away, Buddhist shrine(願堂) was set in Bongeunsa temple. Bongeunsa temple remained as a royal prayer place, serving as a Buddhist shrine for crown prince Soonhoe and serving as a Jopo temples for Seonjeongneung royal tomb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time when it was called Geungseongam to the time after when it was renamed as Bongeunsa Temple, this temple performed The water and land ceremony. But the characters changed little by little. From the King Sejo to King Sungjong, The water and land ceremony characterized Consolation ceremony for the spirit of the dead for prince Gwangpyeong, King Sejong, Queen Soehan and served as the Buddhist memorial praying for the well being of the royal family and people. From the time of the King Yonsan to the time of King Myeongjong, The water and land ceremony had strong characters for Consolation ceremony for the spirit of the dead for K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Bongeunsa Temple served as the royal party of The water and land ceremony. On the other hand, after the Manchu war of 1636, Bongeunsa Temple also served as the national water and land ceremony for the victims who were killed in the mountains of Namhan. In the Joseon dynasty, The water and land ceremony performed by Bongeunsa Temple was strongly directed for Consolation ceremony for the spirit of the dead for royal family members, and Bongeunsa Temple was maintained as a royal prayer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한국어

본 논문은 봉은사의 기원과 조선시대 봉은사에서 설행된 수륙재의 역사적 의미를 고찰한 연구이다. 봉은사는 원래 경기도 광주군 학당동(오늘날의 선릉 능역 내)에 위치했던 견성암이라는 이름의 암자였다. 견성암의 창건시기는 불분명하나, 조선전기에 광평대군의 齋庵으로 지정되면서 크게 중창되었다. 광평대군부인 신씨는 남편의 무덤 근처에 있던 견성암에 70결의 대토지와 1000여 구의 노비를 시주하여 大刹로 중창하였다. 이후 견성암은 견성사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1450년 성종의 능(宣陵)이 광평대군묘와 견성사가 위치한 곳에 들어서면서 광평대군묘는 인근의 대모산 자락으로 이장되었다. 하지만 견성사는 그대로 남아 성종의 능침사로 역할하게 되었고 절 이름은 봉은사로 개칭되었다. 1562년 중종의 능(靖陵)이 선릉 부근으로 이장되면서 봉은사는 선·정릉의 능침사를 겸하게 되었다. 1563년 순회세자가 요절한 뒤에는 세자의 원당이 봉은사 내에 마련되었다. 견성암 때부터 봉은사로 개칭된 이후까지 이 절에서는 수륙재가 계속 설행되었다. 하지만 수륙재의 성격은 시기별로 조금씩 달라졌다. 세조대부터 성종대까지 견성암과 견성사에서 설행된 수륙재는 광평대군과 세종, 소헌왕후의 명복을 비는 천도재의 성격과 왕실 및 사부대중의 안녕을 기원하는 대중법회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이후 연산군~명종대에 이르러 선정릉의 능침사로 역할할 당시 봉은사에서 설행된 수륙재는 왕의 천도재 성격이 강했다. 조선후기에도 봉은사는 순회세자의 원당으로 역할하였기 때문에 봉은사는 왕실 수륙재도량으로 계속 유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병자호란 이후 봉은사는 남한산성에서 전사한 희생자들을 위무하는 국행 수륙재도량으로도 역할하였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見性庵과 奉恩寺의 관계
Ⅲ. 견성사의 수륙재 설행
Ⅳ. 봉은사의 수륙재 설행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탁효정 Tak Hyo-Jeong.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