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곤륜(昆侖) 최창대(崔昌大)의 문장론 연구

원문정보

A study about Gollyun(昆侖) Choe, Changdae(崔昌大)’s prose theory

권진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literary theory of Gollyun(昆侖) Choe, Changdae(崔昌大, 1669-1720). He has authored a variety of works, and his works have been recognized in many literatures. Because of this, studying his literature is a meaningful. The theory of poem creation is as follows. It is the basic poem creationism that expresses the feelings that I experienced and felt as it is. The utility is to multiply and control the artist's feelings through his poem. However, the creative theory of being the best writer is different from this. It must be premised on finding from the heart and studying various books. If these qualities was provided, the words are clear and the meaning is condensed. He distinguished between general works and the best works, and presented their own creative theory and discussed their utility. The theory of prose utility is as follows. H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ng with contemporaries and establishing important things of the day and making them easier to understand, without specifying the morality. This is a thoroughly realistic utility theory. In the classical chinese prose’s history, 'Sadal(辭達)' and 'Susa(修辭)' were issues. He transcends the recognition of 'Sadal(辭達)' and 'Susa(修辭)' as zero-sum. In addition, he gives priority to the meaning of the writer and emphasizes self-realization, which is in common with other political soron(少論) writers' theories. When creating prose, simplicity and bizarreness were issues. He emphasizes concise writing. However, it can be realized when a writer with high opinion is aware of the reason and raises the core. Through various sources, he has completely rejected Ming(明) dynasty’s former and latter seven master(前後七子). However, he did not exclude their work unilaterally, and recognized the work of Chin-Han dynasty(秦漢) and Dang-Song dynasty(唐宋). This is the same as his father Choiseokjung(崔錫鼎). He recognized Chin-Han dynasty(秦漢) and Dang-Song dynasty(唐宋) equally, and sought a simplified and summarized style.

한국어

본 논문은 조선 중후기의 대표적인 소론(少論) 계열 인물인 곤륜(昆侖) 최창대(崔昌大, 1669-1720)를 대상으로, 문장을 위시한 문장론을 규명한 글이다. 최창대는 다양한 저술 편력을 보이고, 공적ㆍ사적인 문헌에서 당파(黨 派)를 초월하여 공히 문학성을 인정받았기에 그의 문학을 연구하는 것 은 유의미한 시도이다. 이에 최창대 문학 연구의 일환이자 그 기초적인 작업으로 그의 문장론을 규명하였는데, 2장에서는 그가 주장하는 문장 의 효용론을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논의의 범주를 예각화 하였는데, 논 의를 설정함에 한문산문사에서 쟁점이 되는 주제를 부각시켰다. 문장 효용론을 실질(實質)과 소통(疏通)의 추구라고 설정하였다. 최창 대의 문장 효용론의 가장 큰 명제는 당대와 후대에 전할 만한 실질[可 傳之實]을 세상 사람들과 소통하고 세상의 일을 해결해 나가는 것이었 다. ‘재도지문(載道之文)’이나 ‘유덕자필유언(有德者必有)’과 같이 도(道)와 덕(德)을 담보하거나 명시하지 않고, 동시대 사람들의 뜻과 소통하여 당 대의 급선무를 설정하고 이를 쉽게 이해시키는 철저히 현실적인 효용론 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한문산문사에서 ‘사달(辭達)’과 ‘수사(修辭)’ 논의는 문예비평 측면에서 항상 쟁점이 되었다. 그 사이에서 최창대는 사달과 수사를 제로섬 (zero-sum)으로 인식하는 상대적인 문장론을 초월하기를 주장하였다. 사달과 수사 논의 자체를 초월하여 명리(明理이치를 밝힘), 택술(擇術학 술을 가림), 수사(修辭말을 닦음)로 이어지는 문장론을 강조하였다. 또 한 그 연장선에서 이치를 얻어 마음에 감응하는 것에 신중하며, 근본을 수립하고 학술의 취향을 올바르게 하는 문장 창작론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작가의 뜻을 우선시하여 자득(自得)을 중요시한 여타 소론계 문장 가들의 창작론과 상통한다. 한문산문사에서 문장의 체제와 표현에 있어서 간명하고 요약함 그리 고 험벽하고 기괴함을 논의하는 담론도 꾸준히 쟁점이 되었다. 이른바 순정한 고문(古文)이라 일컬어지는 당송(唐宋)의 문장이 전자라고 한다 면, 선진양한(先秦兩漢)과 이를 내세운 이른바 명(明)나라 전후칠자(前後 七子)의 문장이 후자라고 할 수 있다. 최창대는 원론적으로 간결한[簡 寡] 문장을 중시하였다. 여러 자료를 통해 최창대는 철저하게 명대 전 후칠자를 배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외려 그는 문장에 있어서 한유(韓 愈)와 증공(曾鞏)을 전범으로 삼았으며, 『고문집성(古文集成)』에 수록된 작가들만 보더라도 당송(唐宋)의 문장가들이 대거 포진해있다. 그렇다고 선진양한의 고문을 일방적으로 배제한 것은 아니었고 선진양한과 당송 의 문장을 공히 적극적으로 인정하였으니, 이 점은 부친 최석정(崔錫鼎) 도 마찬가지였다. 이렇듯 최창대는 문장의 전범 설정, 문장 학습에 있어서 선진양한의 그것에 경도되어 있지 않고 당송과 선진양한을 고루 인 정하되 험벽하고 기괴함보다는 간명하고 요약된 문체를 추구하였다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문장 효용론 - 실질(實質)과 소통(疏通)의 추구
Ⅲ. 쟁점으로 살펴본 최창대(崔昌大)의 문장론
1. 사달(辭達)과 수사(修辭)
2. 간과(簡寡)와 험기(險奇)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진옥 Kwon, Jin-ok.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고전번역연구실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