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17 도시정비법 전부개정과 향후 과제

원문정보

2017’s whole amendment of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and future task

최종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2003,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s Act”) was enacted and about 14 years have passed. Various Regeneration Project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Acts. Therefore, there were many criticisms that they did not receive consistent and systematic institutional support. This Act was to integrate each Regeneration Projects into one Act. However, although they have a common point in that they are aimed at regenerating urban, each projects has many differences in terms of area designation, project entity, and project method etc. In particular, as the reconstruction projects and redevelopment projects were merely integrated, this Act was expected to be revised frequently. Since the enactment of this Act, there have been 19 revisions. In recent years, changes in project methods have become inevitable due to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Despite a number of lawsuits filed, it became difficult for the courts to resolve all matters. These various causes have been combined, and the whole revision of this Act has become inevitable. The main contents of this amendment are as follows: 1) Establishment of legislation to regulate Regeneration Projects for vacant houses and small-scale areas (two-way regeneration project), 2) Integration of Regeneration Projects type, 3) Specification of independent legislation and procedures of the sale claim system, 4) Measures for those who have not applied for pre-sale, 5) Notification of pre-sale asset valuation results etc. Various issues have been raised and solutions have been proposed. However, various solutions were not reflected for various reasons. Still, this Act has many legal voids and lack of coherence among many Acts. A broad and systematic study of this Act should be followed to ensure legal stability and rationality. And it should be appropriately reflected in the next legislative process.

한국어

2003년 도시정비법이 제정되고 약 14년의 시간이 흘렀다. 다양한 개발사업이 개별법으로 나뉘어져 있어 일관되고 체계적인 제도적 뒷받침을 받지 못 한다는 비판이 비등하였고, 각 개발사업을 하나의 주된 목적 아래 이 법이 제정되었다. 하지만 도시의 재정비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가 지지만, 각각의 사업은 구역지정, 사업주체, 사업방식, 토지등소유자의 지위, 권리의 취득과 배분의 방식, 비용부담, 감독권의 행사정도 등 많은 면에서 차 이를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 재건축사업과 재개발사업의 단순한 통합에 그친 도시정비법은 잦은 개정과 새로운 제도의 도입이 예견된 것이었다. 법 이 제정된 이후 매 년 개정이 이루어져 전부개정 이전에 총 19회의 개정이 있었다. 최근 들어 사업환경의 변화로 인한 사업방식의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소송이 대폭 증가하였음에도 법원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어려운 상황 이 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들이 합쳐져 도시정비법의 전부개정은 불가피 한 상황이 되었다. 이번 개정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빈집 및 소규모 구역 에 대한 정비사업을 규율하는 법률의 제정(정비사업의 2원화), 2) 정비사업의 유형 통합 등(제2조). 3) 매도청구제도의 독자적 입법 및 절차의 명시(제64 조), 4) 분양신청을 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조치(현금청산제도의 변화), 5) 분 양공고 전 종전자산평가 결과의 통지, 6) 사업시행계획인가 시 관계기관 협 의 의제 등. 그동안 도시정비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문제제기와 양질의 해결방안이 제시 되었다. 하지만 다양한 해결방안들이 여러 가지 이유로 전부개정에 반영되지 못하였다. 여전히 도시정비법은 많은 법령 가운데에서도 법적 공백이나 정합 성이 부족하다. 견고한 법리를 갖춘 민법이나 형법처럼, 법적 안정성과 합리 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도시정비법에 대한 폭넓고 체계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다음 입법과정에서도 적절하게 반영되는 선순환 구조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현행법의 상황과 전부개정의 방법
Ⅲ. 개정의 방향
Ⅳ. 도시정비법의 주요 개정 내용
Ⅴ. 소규모정비특례법의 주요 내용
Ⅵ. 결론을 갈음하여 : 향후 과제

저자정보

  • 최종권 Choi, Jong-Kwon.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건설법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