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단

전시 일본의 국가정체성과 동아시아 질서 : 국방국가 구상과 ‘초근대’의 상상

원문정보

National Identity, Wartime Japan, and the East Asian Regional Order : The National Defense State and an Imagining of “Ultramodern” Japan

정지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reexamines the Japanese concept of the national defense state (kokubō kokka)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re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vis-à-vis the East Asian regional order and the world system during the Asia-Pacific War. In the discourses produced by reform bureaucrats and intellectuals, they appropriated the concept to reimagine Japan as a hegemon in Asia and even a state superior to Western democracies in war and peace. The national defense state was conceptualized as the most advanced form of the state, which matched the ongoing transformations in world history and would eventually replace the “modern” and, therefore, “anachronistic” liberal democratic state. The idea of the national defense state certainly included some critiques of the existing world order and capitalist modernity, but these critiques retained the modern conceptions of time, linear progress, and the nationstate system. To imagine the advanced nature of the national defense state, Japanese reform bureaucrats and intellectuals discursively constructed Western liberal democracies as fixed at the timepoint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Japanese elite also made conscious efforts to represent their own version of the national defense state, not a mere replica of its German counterpart, and in so doing, they returned to historicism and discursively re-created Japanese culture as essentially totalitarian. The discourses of the national defense state in wartime Japan did not offer concrete programs to organically connect this national identity to a sense of community in the East Asian region. I, therefore, argue that despite the elite’s claim to overcome modernity, the discourses on the national defense state in wartime Japan were primarily imaginings of ultramodern Japan.

한국어

이 글은 일본의 국방국가 구상을 아시아・태평양 전쟁 당시 세계체제와 동아시아 질서 재고 및 국가 정체성 재구축이라는 역사적 맥락에서 재조명한다. 국방국가론, 특히 군국주의로 직결되는 협의의 국 방국가론보다는 광의국방 이념에 근거를 둔 혁신관료와 지식인의 논설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일본 을 선진적인 ‘현대’ 국가로 새롭게 상상하고 아시아의 패권국가로서의 정체성을 선명화하는 매개로 서 국방국가 개념이 동원되었음을 분명히 한다. 다만 이러한 고유성과 차별성은 결국 근대의 시간성 안에서 일본의 선진성을 입증하기 위한 방식으로 재구축되었다. 따라서 전시 일본의 국방국가 구상을 가장 선진의 혹은 첨단의 근대, 즉 ‘초근대’의 상상으로 설명한다. 한편 전시 국방국가 담론이 ‘세계정 세 추수주의’ 의혹을 의식한 채 생산되었으며 국가체제의 고유성과 구성주체인 국민/민족 공동체의 차별성을 설명하기 위해 본질주의적 일본관을 동원했음도 보일 것이다. 일본은 국방국가로 상상된 선 진성을 이유로 새로운 세계질서를 주도할 동아시아 지역질서 구축의 지도자로서 자임했지만, 국방국 가로서의 일본의 정체성과 아시아 지역 공동체 의식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일본의 ‘자기 혁신’이 전제되어야 했다. 전시 일본의 국방국가 구상은 이와 같은 탈근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 혁신의 계기를 포함하지는 못했다.

목차

1. 머리말: 국방국가와 전시 일본의 국가정체성
2. ‘근대 국방’ 개념의 대두
3. ‘현대’ 국가로서의 국방국가와 세계사의 전환
4. ‘초근대’의 심상(心象) 시차(時差): ‘서양’ 근대와 정지된 시간
5. ‘ 초근대’ 선취(先取)의 여망 : 국방국가 전범(典範)으로서의 ‘본연의 일본’
6. 맺음말: 근대 국민국가체제의 족쇄, 정체성의 강박, 동아시아질서

저자정보

  • 정지희 JUNG ji Hee.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