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漢代 『方言』 내 東北지역 어휘의 언어적 연원 및 정체성 탐구 試論 : 『方言』에 수록된 東北지역 어휘와 『爾雅』 同一漢字 어휘의 비교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n linguistic origin and identity of Northeastern Arear’s vocabularies in Fang Yan(方言) of Han dynasty by comparing with synonyms(same Chinese character words) in Er Ya(爾雅)

한대 『방언』 내 동북지역 어휘의 언어적 연원 및 정체성 탐구 시론 : 『방언』에 수록된 동북지역 어휘와 『이아』 동일한자 어휘의 비교분석

鄭載男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ang Yan(方言) is the earliest direct dictionary not only in China but in the world, which was compiled by Yang Xiong(揚雄) in Han dynasty. The book described disconnected ancient Chinese words(古語) not being used at that time, current dialects of individual sub-state provinces and ethnic minorities’ languages including 60 vocabularies of Northern Yan(北燕) and Chosun(朝鮮) regions which had been former territory of Kochosun(古朝鮮) but were annexed respectively through war by Kingdom of Yan(燕) in early BC 3 century and Han dynasty in BC 108. According to the result of isogloss(等語線) analysis on Chosun and Northern Yan’s vocabularies in Fang Yan, it reveals that those two regions’s words could be classified as one language group but were quite isolated from those of Yan region which was geographically adjacent to and politically belonged to same administrative district under Han dynasty’s rule. So it has been a divisive issue on whether vocabularies of Chosun region was a language of ethnic minority, words of Kochosun, or a dialect of ancient Chinese like those of Yan and Dai(代) region. For investigating the linguistic origin, identity and mutual affinity of those vocabularies in Northeastern area(東北) covering Chosun, Northern Yan, Yan and Dai, this paper tried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nd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all words of above 4 regions in Fang Yan and the related vocabularies using same Chinese character in Er Ya(爾雅) which is the earliest dictionary compiled earlier than Fang Ya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wo dictionary books, it could be concluded out that about 30% of Chosun and Northern Yan’s vocabularies in Fang Yan were found in Er Ya and only about 12% of above two regions’ all words were classified as synonyms in Er Ya while about 39% of Yan and Dai’s vocabularies in Fang Yan were found in Er Ya and about 15% of the latter regions’ words in Fang Yan were synonyms in Er Ya. Furthermore, it could be contributed to investigate linguistic origin and identity of Northeastern Arear’s some vocabularies in Fang Yan which were synonyms in Er Ya by this analysis.

한국어

前漢 말기에 揚雄(BC 53–AD 17년)이 편찬한 『方言』은 중국 최초의 方言 辭典으로서, 27년에 걸친 전국적인 방언 조사를 통해 前漢대에는 단절된 古語와 함께 前漢 왕조의 판도에 속한 각 지역의 當代 방언 및 소수민족 어휘가 수록되어 있고, 특히 과거 고조선 영역이었지만 漢朝의 영역에 최종 편입된 北燕 및 朝鮮(洌水)지역의 어휘 60例가 수록되어 있다. 『方言』 내 朝鮮(洌水)지역 및 北燕지역은, 같은 어휘를 사용하는 구역을 서로 연결하는 언어지리학상의 ‘等語線’(isogloss) 개념을 적용할 경우, 하나의 ‘言語圈’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되며 나아가 당시 前漢 판도 내 여타 지역과는 다른 독자적인 언어적 정체성을 보여주는 가운데, 朝鮮(洌水)지역 어휘에 대해서는 ‘上古 중국어(漢語)의 方言’이었다는 주장과 소수민족의 어휘 즉, ‘古朝鮮語’라는 견해가 학술적으로 대립하고 있다. 한편, 前漢 당시 같은 東北권역에 속한 燕․代지역의 어휘는 상고 중국어의 ‘方言圈’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정치․행정적으로 같은 통치권에 속하였던 北燕․朝鮮지역과는 지리적으로 인접하였지만, 언어적으로는 절연에 가까울 정도로 상호 이질성이 강하다. 이와 관련, 朝鮮․北燕․燕․代지역 등 漢代 東北지역 어휘의 언어적 연원 및 정체성과 상호 친연성 등을 밝히기 위해, 동 어휘들에 대해 『方言』 편찬 이전에 성립된 중국 최초의 字書인 『爾雅』에 수록된 관련 어휘와의 全數 비교분석을 통하여, 상고 중국어 어휘로부터의 傳承 여부를 포함한 연관성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方言』 내 朝鮮․北燕지역 전체 어휘의 30%는 『爾雅』에서 同一 漢字를 사용한 어휘가 발견되었고, 그 가운데 의미가 같거나 유사한 어휘(상고 중국어와 같거나 이에 연원을 둔 어휘)는 약 12%에 그쳤다. 다시 말해, 두 지역 전체 어휘의 약 88%는 『爾雅』에 수록되지 않았거나 『爾雅』의 同一漢字 어휘와는 다른 의미의 어휘로 볼 수 있다. 한편, 『方言』 내 燕․代지역 어휘의 경우, 전체 어휘의 약 39%가 『爾雅』에서 同一한 漢字 어휘로 발견되었고, 의미가 같거나 유사한 어휘는 약 15%로서 朝鮮․北燕지역 어휘에 비해 각기 그 비중이 다소 높다. 하지만, 『爾雅』와 『方言』 성립시기 차이로 인한 언어의 시대적 변화, 聲借방식의 어휘 표기가 적지 않은 『方言』 내 ‘방언’ 설명 형식 그리고 특히 『方言』 내 다른 방언권을 포함한 전체 어휘와 『爾雅』 내 전체 어휘를 전수 비교를 하지 않은 사정 등을 감안할 때, 兩書내 朝鮮․北燕․燕․代지역만의 어휘 비교만으로는 언어적 정체성 규명에 충분한 학술적 의미와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爾雅』의 관련어휘와 全數 비교분석을 통해, 『方言』 내 동북지역 일부 해당어휘의 연원 및 언어적 정체성을 규명하는데 근거 있는 접근을 할 수 있었다.

중국어

在前汉末期,杨雄(BC53-AD17年)编撰的≪方言≫一书是中国第一本方言辞典,通过27年时间在全国范围内方言调查,收录了前汉时代已經绝迹的古语和属于前汉王朝的版图内的各地区当代词汇及少数民族词汇。特别是过去虽是古朝鲜领域,最后编入汉朝领域内的北燕和朝鲜(洌水)地区60例词汇。 ≪方言≫内朝鲜(洌水)地区及北燕地区是使用相同词汇的而地理上接壤的地方,适用于语言地理学上称之为“等语线”的概念,被分析为属于同一“语言圈”,并呈现出与当时前汉朝版图内其他地区独立的语言本质。就朝鲜(洌水)地区的词汇, 即在学术界产生‘上古汉语的方言’主张和‘少数民族的词汇’(‘古朝鲜语’)學說之对立情況。另一方面,在前汉代同属东北区域的燕․代地区的词汇可以分類为上古汉语的“方语圈”,與在政治上、行政上同一统治范围内的北燕․朝鲜地区虽然地理相邻,但在语言上存在较强的异质性和绝缘性。 与此相关,本文为揭示朝鲜․北燕․燕․代地域等汉代东北地区词汇的语言语源和本质性、相互亲缘性等,针对≪方言≫以前成書的中国第一本字書≪尔雅≫中收录的同一漢字词汇,通过进行全面的比较分析,尝试分析包括在上古汉语词汇中传承与否在内的关联性问题。 分析结果显示,≪方言≫中约有占朝鲜、北燕地区全部词汇的30%是使用了≪尔雅≫中同一汉字词汇,其中意义相同或相近的词汇(与上古汉语一样或与其语源一致的词汇)约占12%。也就是说,两个地区中约有占全部词汇的88%未被收录在≪尔雅≫中,或是≪尔雅≫的同一汉字词汇被看作其他意义的词汇。另一方面,≪方言≫中燕․代地区的词汇,约占全部词汇的约39%在≪尔雅≫中被看作同一汉字词汇,意义相同或相似的词汇约为15%,与朝鲜․北燕地区的词汇相比其比重有些偏高。但是由于≪尔雅≫和≪方言≫成書时期不同、反映时代变化的词汇嬗變、聲借方式的词汇标记不同,有不少词汇在≪方言≫内以‘方言’的形式进行说明,特别是应该考虑≪方言≫内包含其他语言圈在内的全部词汇和≪尔雅≫中的全部词汇并未进行整体比较之处,两本书中只有对于朝鲜․北燕․燕․代地区的词汇进行比较,缺乏查证语言整体性所需充分的学术性意义和结论的推理。 但是,通过对≪尔雅≫内同一漢字词汇和相关文章的全面比较分析,为查明≪方言≫内东北地区部分符合的词汇语源以及语言本质性提供了可以参考的依据。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方言』에 수록된 동북지역 어휘 개관
Ⅲ. 『方言』내 동북지역 어휘와 『爾雅』내 관련어휘의 비교 분석
1. 『爾雅』와 『方言』의 관계
2. 『方言』내 朝鮮지역 어휘와의 비교분석
3. 『方言』내 北燕지역 어휘와의 비교분석
4. 『方言』내 燕․代지역 어휘와의 비교분석
5. 『方言』내 동북지역 전체 어휘의 비교결과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中文摘要

저자정보

  • 鄭載男 정재남. 현임 주몽골대한민국대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