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최치원 관련 자료의 활용을 통한 영암지역 스토리텔링의 방향

원문정보

The Direction of Storytelling on Yeongam Area through Using Data Relevant to Choe Chi-won

이기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oe Chi-won(崔致遠) is being admired and respected even in China as well as in the country, and is a figure who had influence upon both our culture and Chinese culture. Accordingly, an event and others for remembering him are being held both at home and in China. Especially, the traces, which were left by Choe Chi-won, are being domestically recognized as important cultural assets of a district. Among them, Yeongam in Jeollanam-do Province is being recorded in Lee Jung-hwan's 『Taekriji(擇里志, Geography of Korea)』, as a place that Choe Chi-won left on a voyage to China. And this record leads to being revealed more specifically the aspect of an exchange between Silla and China in those days as well as Choe Chi-won. Hence, Choe Chi-won needs to be emphasized as a figure of being associated with the district in Yeongam. However, an event or an effort relevant to Choe Chi-won cannot be found in Yeongam. This is because an interest is concentrated on Wang In(王仁) who moved to Japan from Baekje as a person who represents Yeongam, above all. Still, the images in Wang In(王仁) and Choe Chi-won(崔致遠) have a similar aspect. Both of them are a figure who moved, respectively, to Japan and China from the nation. Hence, connecting an interest in Wang In(王仁) with Choe Chi-won(崔致遠) leads to being further clarified the regional identity of Yeongam. That is to say, it becomes the district of having an international character, which proceeds with advancing to other country from the nation, beginning from the Three Kingdom Period in the past. And this matter may be crucially utilized as a cultural asset for notifying a district and becomes the original source for the storytelling of a district after this.

한국어

최치원(崔致遠)은 우리의 문화뿐 아니라 중국에도 영향을 미친 인물이기에, 그를 기억하기 위한 행사 등도 국내와 중국에서 모두 진행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최치원이 남긴 흔적을 지역의 중요한 문화자산으로 관리하거나 홍보에 활용하고 있다. 이 가운데 전라남도 영암(靈巖)은 최치원이 중국으로 항해를 떠난 장소로 이중환(李重煥)의 『택리지(擇里志)』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 기록을 통해 최치원의 행적뿐만 아니라 당시 신라와 중국 사이의 항해 경로를 추정하는 근거가 된다. 그런데 영암에서는 최치원과 관련된 행사나 그를 기억하기 위한 과정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 이는 영암을 대표하는 인물로 백제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왕인(王仁)에게 관심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왕인과 최치원은 행적에 있어서 공통적인 성격을 찾을 수 있다. 모두 국내에서 일본과 중국으로 각각 건너간 인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왕인에 대한 지역에서의 관심을 최치원과 연계한다면, 영암의 지역적 정체성은 오늘날의 영암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비교하여 달라진다. 과거 삼국시대부터 다른 나라로 나아갈 수 있었던 국제적인 성격을 지닌 장소로서의 성격이 구체적으로 드러날 수 있어서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관성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성격과 연계된 다각적인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최치원 관련 문화유산과 중국 항로의 특징
1. 최치원과 관련된 지역의 문화유산 현황과 특징
2. 신라에서 중국으로 가는 항로와 영암 지역
Ⅲ. 스토리텔링을 위한 영암지역의 원천소스
Ⅳ. 최치원을 활용한 영암지역의 스토리텔링 방향
1. 영암에서의 중국행을 통한 최치원 삶의 스토리텔링
2. 최치원과 왕인의 성격을 통한 영암의 스토리텔링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기대 Lee, Gi-dae.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글로벌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