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韓國漢字音의 一音節化 경향에 대하여 - 3等 開口韻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On the Changing to One Syllable in Sino-Korean : Mainly on the Third Opened Rhymes

한국한자음의 일음절화 경향에 대하여 - 3등 개구운을 중심으로 -

李京哲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researched how third opened rhymes reflected to Sino󰠏Korean mainly focused on the changing to one syllable.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The [ï+ɑ・ʌ・ə・a・ɐ・∅+∅・u・i・ï]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in Sino-Korean by eliminating or combine of Medial ï and main Vowel, Final Medials. 2)The [i+ɑ・ʌ・ə・a・ɐ・∅+∅・u・i・ï]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in Sino-Korean by combine of Medial i with main Vowel or Final Medials. 3)The [ï+a+∅]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아]/a/ or [어]/ə/ in Sino-Korean. 4)The [i+a+∅]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야]/ja/ or [여]/jə/ in Sino-Korean. 5)The [ï+ʌ+u]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어]/ə/ or [우]/u/ in Sino-Korean, and [ï+a+u] changed to [요]/jo/, [ï+ə+u] and [ï+∅+u] changed to [우]/u/. 6)The [i+ʌ+u]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여]/jə/ or [유]/ju/ in Sino-Korean, and [i+a+u] changed to [요]/jo/, [i+ə+u] and [i+∅+u] changed to [유]/ju/. 7)The [ï+a+i]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에]/əi/ in Sino-Korean, but, /ïɐiŋ・ïɐik/ reflected as a [영・역]/jəŋ・jək/. And the [ï+ʌ・ɐ・ə+i]・[ï+e]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의]/ïi/ or [ᄋᆞ]/ɐ/ in Sino-Korean. 8)The [i+a+i]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예]jəi in Sino-Korean, but, /iaiŋ・iaik/ reflected as a [영・역]/jəŋ・jək/. And the [i+ʌ・ɐ・ə+i]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이]/i/ or [ᄋᆞ]/ɐ/ in Sino-Korean. 9)The [ï+ʌ・ə・∅+ï]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으]/ï/ in Sino-Korean. 10)The [i+ʌ・ə・∅+ï]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이]/i/ in Sino-Korean.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AC의 3等 開口韻이 SK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1音節受容의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AC의 [ï+ɑ・ʌ・ə・a・ɐ・∅+∅・u・i・ï]는 SK에서 介音 ï, 核母音, 韻尾介音 중의 어느 하나를 脫落시키거나 결합시켜 1音節化한다. 2)AC의 [i+ɑ・ʌ・ə・a・ɐ・∅+∅・u・i・ï]는 SK에서 核母音과 韻尾介音 중의 어느 하나를 脫落시키거나 結合시켜 i와 結合할 수 있는 音節로 변환시킨 후에 다시 介音 i와 結合하는 형태로 1音節化한다. 3)AC의 [ï+a+∅]는 SK에서 ï를 脫落시켜 [아]a로, 또는 ïa를 반영하여 [어]ə로 1音節化한다. 4)AC의 [i+a・ɐ+∅]는 SK에서 i를 結合시켜 [야]ja 또는 [여]jə로 1音節化한다. 5) AC의 [ï+ʌ+u]는 SK에서 u를 脫落시키고 ïʌ를 [어]ə로 1音節化하거나 ïʌ를 脫落시켜 [우]u로 1音節化하며, [ï+ə+u]와 [ï+∅+u]는 ïə와 ï를 脫落시켜 [우]u로 1音節化한다. [ï+a+u]는 主母音 a의 前舌性을 반영하여 [요]jo로 1音節化한다. 6)AC의 [i+ʌ+u]는 SK에서 u를 脫落시키고 iʌ를 [여]jə로 1音節化하거나 ʌ를 脫落시켜 [유]ju로 1音節化하며, [i+ə+u]는 ə를 脫落시키고 [i+∅+u]와 함께 [유]ju로 1音節化한다. [i+a+u]는 主母音 a의 低位性을 반영하여 [요]jo로 1音節化한다. 7)AC의 [ï+a+i]는 SK에서 [에]əi로 1音節化하지만, ïɐiŋ/k은 [영/역]으로 출현한다. ïɐiŋ/k이 [영/역]으로 출현한 것은 AC 核母音의 前舌性을 반영한 결과이며, [옝/옉]jəiŋ/jəik으로 반영할 경우 1音節로 성립하기에 부담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또한 [ï+ʌ・ɐ・ə+i]・[ï+e]는 核母音을 脫落시켜 [의]ïi로 1音節化하거나 介音 ï와 韻尾介音 i를 모두 脫落시켜 [ᄋᆞ]ɐ로 1音節化한다. 8)AC의 iai는 SK에서 [예]jəi로 1音節化하지만, iaiŋ/k은 [영/역]으로 출현한다. 이는 SK에서 [예]jəi가 3重母音에 해당하여 語末子音을 동반할 경우 1音節로 성립하기에 부담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또한 [i+ʌ・ɐ・ə+i]는 核母音을 脫落시키고 介音 i와 韻尾介音 i를 결합하여 [이]i로 1音節化하거나 介音 i와 韻尾介音 I를 모두 脫落시켜 [ᄋᆞ]ɐ로 1音節化한다. 9)AC의 [ï+ʌ・ə・∅+ï]는 SK에서 核母音을 脫落시키고 介音 ï와 韻尾介音 ï를 하나의 [으]ï로 1音節化한다. 10)AC의 [i+ʌ・ə・∅+ï]는 SK에서 核母音과 韻尾介音 ï를 脫落시켜 [이]i로 1音節化한다.

목차

1. 들어가며
2. AC3等開口韻의 體系
3. i·i+V+  구조인 韻
4. i·i+V+u 구조인 韻
5. i·i+V+i 구조인 韻
6. i·i+V+i 구조인 韻
7. SK에 대한 해석에서 주의해야 할 점
8. 마치며
參考文獻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李京哲 이경철. 동국대학교(Seoul Campus) 일본학과 교수, 일본어음운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