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고속도로 성토사면의 잡초방지 처리에 따른 효과 비교분석

원문정보

A Comparative Analysis of Effect on Control of Weeds Invasion Treatment of Banking Slope in the Expressway

전기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obtain the basic data on the method of taking care of the upper embankment in the shoulder of a expressway, the experiment in weed prevention was carried out in September, 2013 by constructing a preventive device on the Jungbu Naeryuk Expressway and then the monitoring of the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in 2016.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n the experiment is as follows. Oenothera biennis, Coreopsis drummondii L., Erigeron canadensis L., Dendranthema indicum (L.) Des Moul.,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Metaplexis japonica, Artemisia annua were discovered on the Woodchip mulching-Ⅰ experimental plot(100mm of wooden chip). The dominant plant in the targeted area is mother Dendranthema indicum (L.) Des Moul.;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mulching effect was 43.1 percent. On the Woodchip mulching-Ⅱ experimental plot(50mm of wooden chip), Erigeron annuus (L.) Pers. and Coreopsis drummondii L. are dominant population. The mulching effect on improving the environment was 50 percent. On the experimental plot to which solidifying agent was applied (the researcher has not made the ground even), Oenothera biennis, and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were founded.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ulching effect was 58.7 percent.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plot with solidifying agent (the researcher has not made the ground even), the dominant population was Coreopsis drummondii L., Erigeron annuus (L.) Pers., Metaplexis japonica,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The uncoated area accounts for 29 percent of the experimental areas, and the application of the solidifying agent has little effect on improving the environment(the researcher has not made the ground even).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n vegetation survey, there were Oenothera biennis, Erigeron annuus (L.) Pers.,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Festuca ovina on the Mulching-felt experimental plot. Oenothera biennis was the dominant species. The effect from the application of the mulching felt was enormous with the figure, 75 percent. The plants discovered on the control plot include Coreopsis drummondii L.,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Persicaria senticosa (Meisn.) H. Grossex Nakai, Erigeron annuus (L.) Pers. The uncoated area of the control plot was 27.7 percent; and it is revealed that weeds grow on most of the targeted area.

한국어

고속도로 갓길 외측 성토상단 관리방법의 기초자료를 도출하기 위하여 중부내륙고속 도로 시험도로구간에서 잡초침입 방지 공법을 2013년 9월에 시험시공을 실시한 후 2016년에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드칩 멀칭 Ⅰ(우드칩 100mm) 실험구에서는 달맞이꽃, 금계국, 망초, 감국, 쑥, 박주 가리, 개똥쑥 등이 조사되었다. 대상지내 우점하는 식물은 감국이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멀칭효과는 43.1%로 분석되었다. 우드칩 멀칭 Ⅱ(우드칩 50mm) 실험구에서는 우점하는 식물은 개망초와 금계국이 우점 하고 있었다. 환경개선에 대한 멀칭 효과는 50%정도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화제(흙고르기 실시) 실험구의 경우 달맞이꽃과 벌노랑이가 조사되었다. 멀칭에 대한 효과는 58.7%로 분석되었다. 고화제(흙고르기 실시 안함) 실험구의 경우 조사된 주요 식생으로는 금계국, 개망초, 박주가리, 쑥이 조사되었다. 미피복된 지역은 29%로 고화제(흙고르기 실시 안함)에 대하여 환경개선 효과는 미비한 것으로 판단된다. 매트(부직포 멀칭) 실험구에 대해 식생조사 결과 달맞이꽃, 개망초, 쑥, 김의털이 조사되었으며 우점하고 있는 식물로는 달맞이꽃으로 조사되었다. 부직포 멀칭에 대한 효과는 75%로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조구에서 조사된 식물은 금계국, 환삼덩굴, 쑥, 며느리밑씻개, 개망초가 출현하였다. 대조구의 경우 미피복된 지역은 27.7%로 대상지의 대부분에서 잡초가 생육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시험 시공 대상지 선정
2. 시험 시공 실시
3. 연구대상지 소개
결과 및 고찰
1. 식물 현황 분석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전기성 Gi-Seong, Jeon.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