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학에 계승된 선교(仙敎)와 그 사유체계

원문정보

Seongyo(仙敎) Succeeded to Donghak and its Structure of Thought

김대훈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49호 2018.12 pp.345-38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at terms such as ‘Jisangsinseon(地上神仙)’, ‘Seonyak(仙藥)’, ‘Seoneo(仙語)’ have been used in context of Seongyo(仙敎) rather than in Taoism(道敎). Of course, it is possible to misunderstand that Donghak is in line with Taoism, since Choi Jewoo expressed what he had realized in Taoistic terms. However, Jisangsinseon does not mean Sinseon who is an immortal being and it is not a human image of the escapist. Then, why, of all occasion, did Choi Jewoo try to express Donghak using Taoistic terms? It was highly probable that Donghak, which had been born naturally in Korean history and its cultural context, was influenced by Seongyo if not from the Three Religions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In this regard, the aspects of Seongyo were identified throughout the study. First, it was figured out by examining its contextual relation and thinking structure that Palgwanhoe in the Goryeo Dynasty had succeeded Seongyo. Seongyo was stagnant in the Joseon Dynasty, but the term Seonwangdang(仙王堂) and the fact that male shamans were called the ‘Hwaraeng(花郞-)’ indicated they were parts of Seongyo. Second, analyzing Taoistic terms found in the scripture of Donghak helped explain that Taoism was quoted. Also, it could be stated that ‘Donghak’, ‘Seon(仙)’, and ‘Buddhism’ consisted of ONE structure as Hwanung, Maitreya, and Hwarang were a trinity in the structure of the Jeokjoam story. Furthermore, in terms of the origin, ‘Hyeongi’, ‘Hyeonmyojiri’, and ‘Hyeonmyojijohwa (Miraculousness of principles)’ were the same as ‘Hyeonmyojido’ stated by Choi Chiwon.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의 ‘지상신선(地上神仙)’, ‘선약(仙藥)’, ‘선어(仙語)’와 같은 어휘들이 도교가 아니라 선교(仙敎)의 맥락에서 사용된 것임을 밝히는데 있다. 최제우는 자신이 깨달은 바를 도교적 어휘로 표현했기 때문에 동학을 도교의 맥락으로 오해할 소지가 다분하다. 그러나 지상신선은 불로장생의 신선이 아니며 현실도피적인 인간상도 아니다. 그런데 최제우는 왜 하필이면 도교적 어휘로서 동학을 나타내려고 했는가? 한국의 역사와 문화적 풍토에서자생한 동학이 유불도 삼교가 아니라면 전승된 선교의 영향을 받았을 개연성이 높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동학에서 선교의 요소를 읽어내고자 하였다. 첫째, 선교의 연맥과 그 사유체계를 검토한 후에 고려의 팔관회를 선교의 계승으로 파악하였다. 조선은 선교의 침체기로 그 흔적이 명확하지는 않으나선왕당(仙王堂)과 남자무당을 ‘화랭이[花郞-]’라고 부른 것은 선교의 편린이라고설명하였다. 둘째, 동학 경전에 사용된 도교계열의 어휘를 분석하여, 도교가원용되고 있음을 논하였다. 그리고 적조암 일화의 구도에서 ‘환웅’, ‘미륵’, ‘화랑’이 삼위일체인 것처럼 ‘동학’, ‘선(仙)’, ‘불교’가 하나의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개진하였다. 나아가 본원(本原)의 관점에서 동학의 ‘현기’, ‘현묘지리’, ‘현묘지조화’는 최치원의 ‘현묘지도’와 다름없다고 판단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선교(仙敎)의 사상적 연맥
1) 고유사상의 여러 명명(命名)과 선교의 사유체계
2) 팔관회(八關會)와 선풍(仙風) 숭상
3) 선교의 침체와 그 흔적
3. 선교의 전통에서 본 동학
1) 도교 어휘의 쓰임과 그 활용
2) 적조암(寂照庵) 일화와 그 구조
3) 동학과 선교의 본원(本原)에 대한 이해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대훈 Daehoon Kim. 경상대학교 강사, 진주여자고등학교 윤리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