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은 동학민회와 북접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Boeun-Donghak-civic and the identity of the North fold

손윤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49호 2018.12 pp.245-283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history of The Donghak Revolution on March 10, 1893, through a study of the identity of Boeuncivic(North fold owner, Choi-shihong), The Donghak Revolution was not a one-time event that happened accidentally, but it was a pharmacist of Korean Minjok implied Korean traditional ideas, culture, and philosophy. In The Donghak Revolution, I clarified the identity of the South-Fold, and I studied the identity of the North fold and Donghak. In 1860, when studying Donghak, it was based on the first articles such as the history of Suhwon and the records of the North fold owner Choi-shihong and the trend of Donghak army during The Donghak revolution in 1894. The meeting in Boeun is that it should be defined as the Boeun-civic, and the North fold is a different name of the Donghak or Donghak religious order. The first is that the meeting in Boeun is done by the feed, and the installation of the the Zipkang station which was carried out immediately after the Jeonju explosion was the practice of the assembly. The second is the fact that in the year of 1863, Choi-jewoo appointed to his disciples Choi-shihong as the North fold owner, and even after 1904, when Donghak revolutionary period (1893 ~ 1895) Even if you look at the papers that have been published, it is a transitory term that corresponds to the South-Fold, and is the identity of the Donghak or Donghak religious order itself.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it is the study which secured the objectivity such as history and identity of the North fold covering the whole country.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혁명에 관한 연구를 통해, 1893년 3월 10일 해월 최시형이 북접대도주의 지위로 보은 장내리에 전국의 동학교도들에게 소집령을 내린 보은취회(보은 민회로 정의)의 역사성과 정체성 연구를 통해, 동학혁명이 우연하게 일어나 단발적인 사건이 아닌, 한민족의 전통 사상과 문화, 철학이 함축된 민본의 역사임을 밝히고, 존재성에 관해 남접의 정체를 밝히면서, 북접과 동학교단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은 도원기서 등 동학창시 당시 수운의 행적 등의 참고 문헌과 동학혁명 당시 북접법헌이었던 최시형의 동학군 동향 등 1차 사료와 문헌 등을 인용하여 서술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보은취회는 동학민회로 정의하여야 하며, 북접은 동학또는 동학교단의 다른 이름이라는 점이다. 첫 번째는 보은에서의 집회는 사료에 의해 맞고, 전주화약 직후 실시했던 집강소 설치 운영이 민회의 실천이라는 것이다. 두 번째는 북접은 1863년 7월에 최제우가 제자 최시형에 북도중주인, 즉 북접주인이라고 임명한 사실로 시작하여, 동학혁명 기간(1893~1895) 이 끝난 후인 1904년 이후에도 의암 손병희가 북접법대도주로 첩지를 내린사료를 보아도 북접은 남접에 대응하는 일시적 용어가 아니며, 동학 또는 동학교단의 정체성이며, 동학혁명을 지휘한 북접대도소, 즉 동학지휘부를 지칭하는 용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전국을 망라하여 동학혁명을 총지휘했던 북접의 역사성과 정체성 , 용어 정의 등을 새롭게 연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는 글
II. 동학농민혁명 발생사
1. 동학(천도1)의 역사와 함께한 근·현대사
2. 북도중주인(北道中主人), 북접주인(北接主人)
3. 동학혁명의 불길
4. 각종 집회 결과 보은에서 민회탄생 및 동학혁명 발발
III. 보은민회
1. 보은민회 개관
2. 보은민회에서 대한민국 민주정치의 미래를 보아야한다
IV. 북접의 정체성과 명칭에 관하여
1. 북접대도주 연혁
2. 남접의 정체는 없으며, 명칭 또한 왜곡된 식민사관 용어
3. 북접대도주의 지위와 북접의 정체성
V. 해월, 의암, 그리고 백범의 만남
1. 보은 장내리의 추억
2. 북접대도주 해월최시형의 기포령과 동학군의 총궐기
3. 해월과 의암, 그리고 백범의 동학혁명의 새 역사
VI. 북접의 정체성과 당위성
VII. 동학혁명의 역사를 다시 개벽의 역사로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손윤 Yun Son. 의암연구소 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