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원주지역 동학농민군과 의병

원문정보

Wonju Area Donghak Peasant Army and the Righteous Army

이병규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49호 2018.12 pp.103-12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1894, Donghak peasant army activities in Wonju were weak. However, the debate has been lost due to the fact that Wonju is related to Donghak and the activities of Donghak peasant army were active. Wonju is where Gangwon provincial office was located. So the forces of clerks were powerful. There was a lot of dissatisfaction with clerks’ abduction in the tax receipt and this was expressed by the revolt of aboriginal people.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many nobles based on Wonju. Because Wonju is close to Seoul, many nobles aiming for status recovery were planning to catch up later in Wonju. Because of this condition, Donghak missionary work in Wonju was not active and Donghak peasant army was limited in activity. In most places where there was a provincial office, there are very few places where the Donghak peasant army had its own activities. Jeonju where Jeolla provincial office was located was occupied by Donghak peasant army and Daegu with Gyeongsang provincial office had no Donghak peasant army activity. Gongju, where the Chungcheong Provincial Office was located, was where Donghak peasant army hoped to occupy the Donghak peasant army, not where the forces were active. The activiti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Wonju were in the second upris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y were thoroughly attacked by Wonju’s anti-peasant army. Most Donghak peasant armies were arrested by Wonju’s anti-peasant army. In the end, activities of Donghak followers and activities of Donghak peasant army were not active in Wonju area. One thing to keep in mind is that conflicts are not common in Wonju Uprising,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Righteous Army movement. In 1885, in Wonju, the peasant and intellectuals were confronted with clerks. In 1894,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opposed the anti-peasant army of the nobles and clerks. In the Righteous Army movement in 1896, intellectuals, clerks, and artillery were on the same side, showing confrontation with government and Japanese forces. In the area around Wonju in 1894, various forces such as clerks, farmers, intellectuals, Donghak followers, Donghak peasant army, and artillery forces have different attitudes and attitudes according to historical events. It is not accounted for by absolute standards, namely, good and evil, justice, and injustice. The parties would have done their best in their own terms. However, sinc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Righteous Army are in conflict, we must interpret it and give meaning to it. The example of Lee Jae-Hwa and Lee Chul-Hwa gives us a new approach to this problem. Lee JaeHwa and Lee Chul-Hwa were cousins and Lee Jae-Hwa at the time of Wonju people represented the position of the farmers. However, a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Lee Chul-Hwa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antipeasant army activities, leading the Donghak peasant army subjugation. And in 1896 he actively took part in the Righteous Army movement. As circumstances changed, Lee Jae-Hwa and Lee Chul-Hwa, representing the farmers’ position, attacked the Donghak peasant army again as an anti-peasant army,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activities when Japan’s invasion intensified. Sinc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Righteous Army activities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However, in the case of Lee Chul-Hwa, we find a point wher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Righteous Army collide in Wonju. These conflicts occurre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We must give value and meaning to each of these historical facts.

한국어

1894년 원주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미약하였지만 원주가 동학과 관련이 많고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왕성하였다는 전제위에서 논의를 전개함으로서 그 방향성을 상실하고 있다. 원주는 강원감영이 있었던 곳이다. 그래서 이서층의 세력이 강력한 편이었다. 조세수취 과정에서 이서층의 수탈로 많은불만이 있었고 이것이 원주민란으로 표출되었다. 한편 원주를 근거로 한 사족들도 다수 있었다. 서울에서 가까워 재기를 노리는 많은 사족들이 원주에서 터를 잡고 후일을 도모하였다. 이러한 조건은 원주에서 동학포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웠고 동학농민군의 활동도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대체로 감영이 있던 곳에서 동학농민군 자체적인 활동이 이루어진 곳은 거의 없다. 전라감영이 있던 전주성은 동학농민군이 점령한 것이고, 경상감영이 있던 대구에는 동학농민군 활동이 없었고, 충청감영이 있던 공주역시 동학농민군 세력이 활발하기 보다는 동학농민군이 점령하고자 했던 곳이다. 원주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은 동학농민혁명 2차 봉기 시에 있었으며그들은 원주의 반농민군에게 철저하게 공격당하였다. 동학농민군들은 대부분이 원주의 반농민군에게 체포당하였다. 결국 원주지역에서 동학교도의 활동과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였다. 한편으로 눈여겨볼 것은 원주민란, 동학농민혁명, 의병운동 과정에서 대립과 갈등양상이 일반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1885년 원주민란에서는 농민과 재지사족이 같은 편으로 이서층과 대립하였고, 1894년 동학농민혁명에서는 동학농민군이 사족과 이서층이 중심이 반농민군과 대립하였고, 1896년 의병운동 단계에서는 재지사족, 이서층 포군이 같은 편으로 하여 정부군과 일본군과대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1894년을 전후한 시기에 원주라는 지역에서이서층, 농민, 재지사족, 동학교도, 동학농민군, 포군 등 다양한 세력들은 역사적 사건에 따라 입장과 태도가 다르게 표출되고 있다. 그것은 절대적 기준, 즉 선악이나, 시비, 정의와 부정의 등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당사자들은 자신들의 입장에서 최선을 다했을 것이다. 그러나 동학농민혁명과 의병이 충돌하고 이를 우리는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이재화와 이철화의 예를 통해 우리는 이 문제에 새롭게 접근할 수 있다. 이재화와 이철화는 사촌 간으로원주민란 당시에 이재화가 농민들의 입장을 대변하였다. 그러나 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이철화는 반농민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동학농민군토벌에 앞장섰다. 그리고 그는 1896년 의병운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였다. 상황이 변하자 농민들의 입장을 대변한 이재화와 이철화는 다시 반농민군이되어 동학농민군을 공격하였고, 다시 일본의 침탈이 격해지자 의병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한국사 전개과정에서 동학농민혁명이 역사발전에 공헌한 만큼 의병활동 역시 한국 역사발전에 공헌하였다. 그러나 이철화의 경우에서, 그리고 원주라는 지역에서 동학농민혁명과 의병이 충돌하는 지점을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충돌은 당시 조선 전역에서 발생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 대해 각각의 입장에서 가치와 의미를 부여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원주민란
1) 원주의 지역적 조건
2) 원주민란의 전개
3. 원주지역의 동학포교
4. 원주지역의 동학농민군
1) 원주의 동학농민군
2) 정선·영월·평창 동학농민군
5. 원주지역의 반농민군
6. 1896년 원주지역의 의병
7.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병규 Byungkyu Lee.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조사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