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학농민혁명 이후 해월 최시형의 피신과 교단 수습

원문정보

Hiding of Heawol Choi Si-Hyeong and Donghak Denomination’s Reconstruction after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성강현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49호 2018.12 pp.73-10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onghak peasant, defe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disbanded in the Taein battle. Hae-wol, who was watch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Jeonbuk Imsil, met Son Byeong-hee, a so-called ‘BUKJUBKUN’(北接軍). The Donghak leadership succeeded in hiding from the Jeolla province, Chungcheong province, and Gyeonggi province through Inje, Gangwon province, overcoming the government forces and the Japanese army.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at the risk of being collapsed, but the leadership centered on Haewol devoted to reconstruction of Donghak denomination. For about four years from 1895 until his arrest in April 1898, he established the basis for the reconstruction of Donghak. Major activities during this period were: First, renovating the denomination by introducing young leaders such as Son Byeong-hee, Kim Yeon-guk, and Son Cheon-Min into the front of the denomination. In the end, Son Byeong-hee was given responsibility for the denomination. Second, he extended the influence to the north region of Hwanghae province, Pyeongan province, and Hamkyung province, which have not been affected by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s a new prospect of propagation. Third, he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Donghak doctrine. The law that Haewol presented at this time became an important basis for the subsequent consciousness doctrine of Donghak. The law of ‘MANSAJI(萬事知) is a bowl of rice’ has become a law that represents Donghak ‘s life idea, and the law of’ HYANGASULWI(向我設位)’ has been the ritual that best deals with Donghak’ s ideology.

한국어

반외세를 목적으로 9월에 총기포한동학농민군은 공주 점령을 위한 우금치전투에서 패배하고 연패를 거듭하다 태인전투 후 호남과 호서의 동학군은분리하였다. 전북 임실에서 동학농민혁명을 주시하던 동학교주 해월 최시형은 호서동학군, 소위 ‘북접군’ 지휘부인 손병희를 만나 관군과 일본군의 포위망을 뚫고 전라도에서 충청도, 경기도를 거쳐 강원도 인제로 피신하는데 성공하였다. 동학농민혁명의 실패로 인해 동학교단은 존폐의 위기에 처하였으나해월은 강원도와 경기도 등지에 은거하면서 동학농민혁명으로 와해된 교단조직을 재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1895년부터 1898년 4월 체포될 때까지의 약 4년간 해월은 동학 재건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 시기의 주요 활동으로는 첫째, 첫째, 교인들의 단합을 위해 노력하였다. 동학농민혁명이 인력으로 된 일이 아니라 천명에 의한 사건이라고 규정하여 공과에 대한 논쟁을 불식시키고 교인들의 단합을 꾀하였다. 둘째, 결국 1897년 손병희에게 도통을 전수하여 교단을 책임지웠다. 셋째, 동학의 새로운 포덕 대상지로 동학농민혁명의 피해를 입지 않은 평안도와 황해도 등 북부 지방을 삼아 교세를 확장시켰다. 넷째, 동학 교리의 정립에 기여하였다. 해월이 이 시기에 설파한 법설은 이후 동학의 의식과 교리 정립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만사지(萬事知)는 식일완(食一碗)’의 법설은 동학의 생명사상을 대표하는 법설이 되었고, ‘향아설위(向我設位)’의 제례는 동학의 사상을 가장잘 담은 제례법으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동학농민혁명 이후 해월 최시형은 은신하면서 붕괴 직전의 교단을 정비하고 후계 체제를 정립하여 이후 손병희가 천도교로 교명을 바꾸고 국내 제일의교단으로 성장하는데 밑거름이 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호서동학군의 북행(北行)과 해산
3. 해월의 강원도 피신과 교단 수습
4. 도통 전수와 체포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성강현 Kanghyeon Sung. 동의대학교 사학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