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무단 투기나 방치로 인해 수질오염을 유발하는 불특정 유기성 폐기물의 관리방안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streams Yeongsan, Manbong and Pyeongdong, which are the first tributaries of Yeongsan river.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ximizing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by constructing the facilities of pollutant removal would not be big in effect, that is, BOD and T-P concentrations were reduced by 8.6% and 15.9%, respectively for Yeongsan stream, 8.3% and 7.1%, respectively for Manbong stream, and 7.7% and 23.2%, respectively for Pyeongdong stream. The reason why it was hard to improve water quality by facilitycentered structural reduction plan was because of water pollutants that were discharged from the organic wastes illegally dumped or left alone on non-specific time and unspecified places (open storage places for compost, livestock manure sheds, illegal dumping sites of agricultural wastes, agricultural drainage, etc.). As a method for solving this problem, this study showed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apply governance-centered unstructural plans (private-public consultative group), not the facility-centered structural plans initiated by government to reduce the amount of unspecified pollutants, and thus a governance structure that could be used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was also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는 영산강의 제1지류인 영산천, 만봉천 및 평동천의 수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 들 하천에 오염삭감 가능 시설들을 최대로 설치하더라도 수질개선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났다. 즉, BOD와 T-P의 개선율은 영산천이 각각 8.6%와 15.9%, 만봉천이 각각 8.3%와 7.1% 그리고 평동천이 각각 7.7%와 23.2% 였다. 이와 같이 시설중심의 구조적 저감방안으로 하천수질을 개선하기 어려운 이유는 불특정 시간에 불특정 장소(퇴비 야적지, 가축 퇴비사, 농업폐기물 투기 하천변, 농업배수로 등)로 무단 투기 또는 방치되고 있는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배 출되는 수질오염물질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 주도형 시설중심의 구조적 방안보다는 다양한 유역 구성원들이 이 해당사자로서 참여하고 그들 스스로가 주도하며 협치할 수 있는 거버넌스 중심의 비구조적 방안이 불특정 오염물질을 처 리하는데 적합함을 보여 주었고 이에 맞는 거버넌스의 조직형태를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문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결과 및 고찰
1. 현장조사
2. 수질개선계획별 삭감량 및 효과분석
3. 단계적 거버넌스 민·관 협의체 구축
IV. 결론
사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