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국사상의 침략성

원문정보

The Thought of Divine Kingdom and Invasiveness

박홍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ought of divine kingdom and invasiveness. Unlike what is commonly known in Korea, the thought of divine kingdom is not necessarily invasive, but has various elements. Therefore, here I exploit the thesis using primary materials and previous research from the narrowed down viewpoint that is invasiveness.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greatest academic contribution of this paper to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Motoori Norinaga and Yoshida Shoin with the concept of artificiality.

한국어

이 글은 신국사상과 침략성의 관계를 서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는 다르게 신국사상이 침략적인 것만은 아니며 다양한 요소를 갖고 있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신국사상의 ‘침략성’이라는 좁혀진 관점에서 1차자료와 선행연구들을 사용하면서 논지를 전개할 것이다. 노리나가의 황국사상이 쇼인의 신국사상으로 계승되면서 나타난 특징을 ‘작위성’의 유무로 설명하는 것이 이 글이 갖고 있는 가장 큰 학술적 기여라고 할 수 있겠다.

일본어

この論文は神国思想と侵略性の関係を叙述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韓国で一般的に知られているのとは異なって、神国思想は必ずしも侵略的なものではなく、それは様々な要素を持っていた。従ってここでは神国思想の侵略性という絞られた観点から一次資料と先行研究を使用して論旨を展開する。本居宣長の皇国思想と吉田松陰の神国思想との差異を「作為性」の有無で説明するのがこの論文が持っている最大の学術的な貢献だと言えるだろう。

목차

<요지>
Ⅰ. 머리말
Ⅱ. 신국사상의 흐름: 다양한 요소들
(1) 『일본서기』 : 신국사상의 시원과 허구성
(2) 몽고 침략기의 신국사상 : 본지수적(本地垂迹)과 수세적 방어성
(3) 『신황정통기』 : 황통의 계승과 상대적 우월성
(4) 요시다신도(吉田神道) : 반본지수적(反本地垂迹)과 절대적 우월성
(5) 도쇼다이곤겐(東照大權現) : 일본형화이체제와 자기만족적 배타성
Ⅲ. 침략적 신국사상의 완성태 :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황국(皇國)사상
(1) 찬란한 황국 : 초절대적 우월성
(2) 만국의 원본대종(元本大宗) : 지배성
(3) 무작위적 침략성
Ⅳ. 요시다 쇼인(吉田松陰)의 작위적 신국사상
(1) 국체론 : 천황 중심의 신국
(2) 정한론 : 일본판 제국주의의 출발
Ⅵ.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박홍규 Park, Hong-kyu.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동양정치사상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