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ulture Convergence (CC)

정사사회적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Emotional & Social Preparation for Aging on Successful Aging &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송기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ake a look at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ccessful aging as the aging population grows. For this purpose, psychological and social concepts were defined for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 effects of emotional & social preparation for aging on successful ag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910 who are over the age of 65. They were originally extracted from the 4th main survey and 3rd, 4th additional survey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For data analysis purposes,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v2.16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ly, emotional & social preparation for aging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Secondly, emotional & social preparation for aging has a indirect effect on successful aging through social suppor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the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to enhance the preparation for aging and social support.

한국어

본 연구는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노 인의 성공적 노화 가능성을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개념 정의하여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정서사회적 노후준비의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민노후보장패널(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4 차 본조사와 3, 4차 부가조사 자료로부터 추출한 65세 이상의 노인 3,910명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v2.16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사회적 노후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하게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사회적 노후준비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성공적 노화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고 할 수 있어 정서사회적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화 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 서사회적 노후준비와 사회적 지지 제고를 위한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문헌연구
1. 성공적 노화
2. 정서사회적 노후준비
3. 사회적 지지
4. 정서사회적 노후준비, 성공적 노화, 사회적 지지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자료 및 조사대상
3. 측정도구
4.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분석
3.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분석
4. 가설의 검증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송기영 Keeyoung SONG. 정회원, 오산대학교 실용사회복지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