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통전적 영성생활의 해석학적 패러다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Hermeneutical Paradigm of Holistic Spiritual Life

최창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illuminate the aim of spiritual life which is in holistic life and recovering wholeness emerging from vital relationship with God, while the acts themselves of prayer, the Bible meditation and worship was regarded as touchstone in the traditional paradigm of spiritual life. This article suggests a paradigm and structure of hermeneutical circle for holistic spiritual life. For this, ‘the holistic self’ is first discussed as hermeneutical touchstone for spiritual life because it is a base of the structure of hermeneutical circle for holistic spiritual life. In this context, the structure of hermeneutical circle for spiritual life is suggested, arguing that spiritual life is formed and reformed through the circular relationship between spirit and body, the tradition and the present situation where you belong, individual and community, theory and practice, prayer and labor, preferred ones and non-preferred ones Then, the article discusses verbal, relational and experiential dimensions as a hermeneutical paradigm for spiritual life.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in observation and understanding through not only theological but also empirical dimension. As changes often occur in the brain due to the person’s inner state, situation, wound and illness, not only the effect of prayer and the Bible meditation but also the influence and limitations on spiritual life should be known. The article goes on arguing that spiritual life is related with the experience of wholeness in empirical paradigm, for true experience of wholeness is related with not only fullness of life in the body of Christ but also getting into the world as an agent of God’s grace and reformation. So it suggests that spiritual life is not separated from the healthy social experience.

한국어

영성생활의 고전적 패러다임에서는 기도와 말씀묵상과 예배와 같은 행위 자체를 영성생활의 시금석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영성생활의 목적은 이러한 행위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생동적인 관계에서 발생하는 통전적 삶과 전인성 회복에 있다는 것을 밝혔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통전적 영성생활을 위한 해석학적 순환의 구조 와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영성생활의 해석학적 시금 석으로서‘통전적 자아(self)’에 대해 논하였다. 통전적 자아는 통전적 영성생활을 위한 해석학적 순환 구조의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론적 맥락 안에서 영성생활의 해석학학적 순환 구조에 대 해서 제시하였다. 즉 인간의 영성생활은 영혼과 몸, 자신이 속한 전통 과 현재 상황, 개인과 공동체, 이론과 실천, 기도와 노동, 선호하는 차 원과 덜 선호하는 차원과의 순환 관계를 통해 형성되고 혁신되고 발전 된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영성생활의 해석학적 패러다임으로서 동사적 관계적 경험적 차원을 통전적 관점에서 논하였다. 특히 그리스도인들의 효과적인 영적 경험과 삶을 위해서는 단지 신학적 관찰과 이해뿐만 아니라 임상적 관찰과 이해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하였다. 영성생활에서 기도와 말씀 묵 상과 같은 요소들의 효과에 대해서도 알아야 하지만 인간의 내적 상태 와 환경과 상처와 질병으로 인해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가 영성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고 제한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영성생활의 경험적 패러다임에서는 전인성의 체험과 관계된 다는 것을 논하였다. 진정한 전인성의 체험은 그리스도의 몸 안에서 충 만한 삶뿐 아니라 하나님의 변혁시키시는 은혜의 대리자로서 세상 속 으로 들어가는 것과 관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성생활은 건강한 사 회적 경험과 분리되지 않는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는 글
II. 펴는 글
1. 영성생활의 해석학적 시금석으로서 '통전적 자아'
2. 영성생활의 해석학적 순환의 관계 구조
III.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창국 Choi, Chang-Kuk. 백석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