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하이쿠와 격조사 ‘の’의 수사표현 - 비유와 동격의 기능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Haiku and Rhetorical Expressions of the Case Particle ‘の’ : Focusing on the Functions of Metaphor and Apposition

박소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exceptional cases when the case particle ‘の’ is used for metaphor and apposition. Although, the case particle ‘の’ has various functions in ‘AのB’, it has two characteristic functions rhetorically. One, as a metaphor, means ‘AのようなB’ with an ommission of ‘~ような’ and the other, as an apposition, conveying the meaning of ‘Aという(=である) B’. In the Western rhetorics, metaphors consist of similie, metaphor, metonymy, and synecdoche. All are compose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concept and the auxiliary concept. The meanings of metaphor and apposition in ‘AのB’ are also established by the similarity of the two objects. Even though, ‘AのB’ suggests both ‘B like A’ and ‘A is B’,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whether A is original or B is original. For instance, ‘花の雲’ in Basho’s haiku can be translated both as ‘cloud like a flower’ and ‘A flower is a cloud’ in Korean, but they carry completely different messages. Hence this paper examines the cases where ‘a flower’ is in the place of substantive A and the object is in the position of substantive B in the arrangement of ‘flower+の+B’ and the structure and the meanings of metaphor and apposition through analyzing them. As a result, if nouns related to a celestial body such as clouds, rain, snow, and snowstorms comes to the position of substantive B, it means apposition and it is the same when nouns associated with a heavenly body are used in the place of A. Therefore, we need to discern whether the noun connected with the case particle ‘の’ in Haiku is the original or auxiliary concept. If A is a seasonal word, it can be understood as an original concept since it is the subject that the author tries to express. Based on this finding, translation errors to Korean in the meaning of the case particle ‘の’ can be resolved.

한국어

본 논문은 격조사 ‘の’가 비유와 동격용법으로 사용되는 매우 특이한 표현에 대해 고찰하였다. ‘AのB’에서 ‘の’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수사표현으로 두 가지의 독특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비유로 ‘~ような’가 생략된 ‘AのようなB’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또 하나는 동격으로 ‘Aである(=という)B’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런 의미를 가지고 있는 ‘AのB’의 구조에서 전자는 서구의 수사법에서의 직유에 해당되며, 후자는 은유에 해당된다. 일본문법사전에서는 전자를 비유, 후자를 동격의 비유로 다루고 있다. 서구의 수사법 비유에는 직유, 은유, 환유, 제유 등이 있으며, 모두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유사관계로 성립된다. ‘AのB’에서 비유와 동격의 의미도 두 대상의 유사관계로 성립된다. 그러나 ‘AのB’는 ‘A 같은 B’, ‘A는 B이다’라는 의미를 갖지만, 표기는 ‘AのB’이기 때문에 A가 원관념인지 B가 원관념인지를 분별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바쇼의 ‘花の雲’를 한국어로 번역할 때 ‘꽃 같은 구름’과 ‘구름같은 꽃’은 전혀 다른 의미가 된다. 이에 체언A에 해당하는 ‘꽃(花)’과 체언B의 대상을 분류하여, 비유와 동격을 분석하고 그 구조와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꽃과 연결된 체언B에 실질명사가 오는 경우, 소유, 소재, 소속 등 다양한 관계를 나타낸다. 그리고 체언B가 구름, 비, 눈, 눈보라 등의 천체(天體)와 관련된 명사가 오는 경우 동격의 의미를 나타내며, 꽃 외의 A에 천체와 관련된 명사가 오는 경우도 동격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하이쿠에 격조사 ‘の’로 연결된 명사가 원관념인지 보조관념인지 파악해야 한다. A가 계절어(季語)이면,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이므로 원관념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때 체언B는 벚꽃을 형상화, 구체화, 가시화하기 위한 보조관념이지만, 원관념과 동격으로서 등가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A와 B는 부분적인 유사가 아니라, A=B이다. 이와 같은 점을 토대로 한국어로 번역한다면, 격조사‘の’의 의미에 대한 오류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1. 들어가기
2. ‘체언A+の+체언B’에서의 비유와 동격의 ‘の’
3. ‘花+の+체언B’에서의 ‘の’
4. ‘체언A+の+체언B’에서의 ‘の’
5. 나오기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박소현 Bark, So Hyun. 강릉원주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