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Structural Break in Income Inequality of Taiwan
초록
영어
This paper investigates structural break in the income inequality series of Taiwan. A two-state Markov regime-switching model is used where time trend is allowed to make one time permanent shift from one state to the other at an unknown change point. For the income quintile share ratio and the Gini coefficient over the period of 1978-2015, we find that 1) the break date is the year 2001 for both of the income quintile share ratio and the Gini coefficient, 2) the period before the break which is 1978-2000 is identified as a state where the two income inequality measures have a positive time trend, 3) the period after the break which is 2001-2015 is identified as a state with no inclining or declining trend for the income quintile share ratio and a state with a negligibly declining trend for the Gini coefficient. This indicates that income inequality has been widening before 2001 and has stayed at a substantially higher level after 2001 than before 2001. The structural break of income inequality seems attributed to higher unemployment and lower growth. Unemployment rates made a shift from the low to high unemployment state in 2001, and GDP growth rates switched from the high to low growth state over 1998-2001.
한국어
본 논문은 대만의 소득 불평등도 움직임의 구조변화에 대해 분석한다. 시간추세에 두 개의 국면이 있는 마코프 국면전환 모형이 사용되며, 한 국면에서 다른 국면으로의 영구적인 전환이 미지의 시점에 1회 발생하도록 허용된다. 1978년-2015년 기간의 소득 5분위 배율과 지니계수에 대한 분석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 5분위 배율과 지니계수 모두에서 시간추세의 구조변화 시점은 2001년으로 추정되었다. 둘째, 구조변화 이전인 1978년-2000년 기간의 첫 번째 국면은 소득 5분위 배율과 지니계수 가 시간추세에 따라 상승하는 국면으로서 소득 불평등도가 꾸준히 악화된 국면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 조변화 이후인 2001년-2015년 기간에 해당하는 두 번째 국면의 특성은 소득 5분위 배율의 경우에는 시 간추세 없이 과거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 꾸준히 유지된 국면, 지니계수의 경우에는 그러한 높은 수준에 서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추세적인 하락을 보인 국면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2001년 이후의 소득 분배가 그 이전에 비해 훨씬 악화된 상태에서 정체되었음을 가리킨다. 소득 불평등도의 이러한 구조변화 의 배경에는 실업 증가 및 성장 저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실업률은 2001년에 저실업 국면에서 고실업 국면으로 전환하였으며, 성장률은 1998년-2001년 기간을 전후하여 고성장 국면에서 저성장 국면 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Ⅱ. 모형
Ⅲ. 실증 분석 결과
3.1 구조변화 횟수의 검정
3.2 모형 추정 결과
3.3 추가 논의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