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특집] 대학 교양 교육의 성과와 모색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교양강좌 강의평가 결정 요인 탐색

원문정보

Exploration of the Factors Determining the Lecture Evaluation of Liberal Arts Courses Utilizing the Decision Tree Analysis

이지연, 이영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tterns of the factors of items that determine the total score in the lecture evaluation of liberal arts theory courses of A. University located in the capital region through a decision tree analysis, a technique for classification in data mining. This study differentiated itself from the preceding studies by conducting a comparative study of the patterns of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total score of the lecture evaluation, dividing groups according to the professor position, class size and the year of th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cepting for textbooks and materials being the first node determining the total score of the lecture evaluation in the group of senior students, the teaching method was commonly confirmed as the first node in the professor position, class size and the year of the students. Second, the fairness of evaluation and syllabus the second node was commonly analyzed in professor position, class size and sophomores and juniors. Third, mutual interaction and syllabus in freshmen and the fairness of evaluation and mutual interaction in seniors were explored as the second important node respectively. They showe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factors in liberal arts courses and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determining the lectur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year of the students. Concrete strategies developing teaching competency in liberal arts courses b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한국어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A대학교 교양 이론강좌를 대상으로 강의평가 총점을 결정하는 예측요 인 간의 패턴을 데이터마이닝의 분류기법인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때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된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교수직위, 강좌규모, 수 강학년별로 집단을 구분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와 차별화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 강학년 중 4학년 이상 학생 집단에서 강의평가 총점을 결정하는 첫 번째 마디가 교재 및 자료인 것을 제외하고, 교수직위별, 강좌규모별, 수강학년별 첫 번째 마디가 교수법으로 동일하게 나타 나 교양강좌에서 수업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교수법이 좋은 강의를 결정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둘째, 교수직위별, 강좌규모별, 2, 3학년별에서 공통적으로 두 번째 마디가 평가와 강의 계획서로 나타나 체계적인 강좌 운영과 평가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1학년과 4학년의 두 번째 마디는 각각 상호교감과 강의계획서, 평가와 상호교감으로 나타나 교양강좌에서 정서적 요 인의 중요성과 학년별 강의평가 결정요인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집단 특성별 교수역량 개발을 위한 구체적 전략을 제공하였다.

목차

1. 서론
2. 대학 강의평가 영향 요인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지연 Lee, Jiyeon. 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 교수
  • 이영주 Lee, Yeongju. 명지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