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년세대의 미래 자신감에 대한 지역 간 격차

원문정보

A Decomposition of Regional Differences on the Self-Confidence among Young Adults

이순아, 이상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study, we analyzed whether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in Korean young adults' self-confidence in the future. And we tried factorial decomposition to explain the cause of the difference. We also investigated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the application policy program and psychological factors on self-confidence. This study used Labor and Income Panel Study(2016) data. Then, We analyzed the OLS regression and the Oaxaca-Ransom’s metho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confidence of young people living in metropolitan cities is better than that of non-metropolitan areas young people. Second, these gaps do not result from the individu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but from the area effects. In particular, young people in non-metropolitan areas should have a high level of confidence when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ng people's personal and household. However, local effects have reversed the level of self-confidence in young people. Finally, we analyzed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employment policy program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young people's confidence. As a result,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have significantly affected the growth of young people's confid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cal environment is important in addition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households to improve young people's self-confidence and that emotion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to material․technical support for the young adult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지역 간에 청년세대의 미래 자신감 격차가 발생하는지 경험적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해당 격차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격차 요인분해를 시도하였다. 아울러 청년층의 자신감 제고를 위한 정책적 전략 모색으로 고용정책프로그램의 참여와 심리정서 요인이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석에는 노동패널조사 19차(2016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분석방법으로 OLS다중회귀분석과 옥사카-랜섬의 격차 요인분해 방법을 이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별광역시에 거주하는 청년들의 자신감이 도지역 거주 청년들의 자신감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이러한 격차는 청년층의 개인 및 가구특성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거주지역의 효과에서 발생하는 것이었다. 특히 청년층의 개인 및 가구특성만으로 비교했을 경우, 오히려 도지역 청년들의 자신감이 높은 수준이어야 하는데, 지역사회의 영향이 이를 역전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마지막으로 청년들의 자신감 제고를 위한 정책적 접근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고용정책프로그램 참여와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만이 유의미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청년층의 자신감 제고에 개인적 특성과 가구특성 외에 지역사회 환경을 적극 고려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며, 청년층에 대한 물질적·기술적 지원 외에 심리적·정서적 지원이 요청됨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1. 이론적 배경
2.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1. 분석자료 및 대상
2. 변수구성 및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청년세대 개인 및 가구의 일반적 특성과 지역 간 차이
2. 청년세대 미래 자신감의 지역 간 차이
3. 거주지역과 청년세대 미래 자신감의 관련성
4. 청년세대 미래 자신감 격차에 대한 거주지역의 효과 분해
5. 고용정책 프로그램 참여 및 심리정서 요인이 미래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순아 Lee, Soon A. 전북대학교
  • 이상록 Lee, Sang Rok. 전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