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거리감 및 다문화효능감의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Prejudice, Social Distance, and Multicultural Efficacy for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어흥선, 이종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judice, social distance, and multicultural efficacy o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in general household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ejudice against the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general household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stical effect on social distance. Second, prejudice toward the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in general household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ulticultural efficacy. Third, social distance to the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in general household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multicultural efficacy.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dis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judice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social distance was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judice and multicultural efficacy.

한국어

본 연구는 일반가정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거리감 및 다문화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편견은 사회적 거리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편견은 다문화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일반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다문화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편견과 다문화효능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거리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거리감은 편견과 다문화효능감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편견
2. 사회적 거리감
3. 다문화효능감
4. 편견과 사회적 거리감 및 다문화효능감의 관계 고찰
III.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2. 연구도구
3. 타당도와 신뢰성 검증
4. 자료처리
IV. 연구 결과
1. 상관관계 분석
2. 구조모형분석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어흥선 Eu, Heung-Sun. 경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이종숙 Lee, Jong-Sook. 성결대학교 뷰티디자인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