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물질적 박탈과 음주가 자살행위에 미치는 영향 - 한국복지패널데이터 2012-2017년 종단연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Impact of Deprivation and Drinking on Suicidal Behaviors - Analysis of KoWePS Data from 2012 to 2017 -

김미숙, 김윤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aterial deprivation and drinking on the suicidal behaviors using data from the 7th to 12th waves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demographic features, masculine gende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suicidal plan, and suicidal attempt. The older age, lower education level, and being in married state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the suicidal ideation. Second, as for the material deprivation, experiences in food, medical, and credit depriv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suicidal plan, and suicidal attempt. Material deprivation in housing had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 Third, as for the drinking factors, problem drinking behaviors, such as needing a first drink in the morning after a heavy drinking, had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Problem drinking behaviors, such as feeling a guilt or remorse after drinking and/or unable to remembering what happened the night before because of drinking, had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plan.

한국어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저소득층의 물질적 박탈과 음주요인이 자살행위에 미치는 영향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한국복지패널 7~1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연도별 변화추이를 살펴보고 패널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으로는 성별이 남성일 때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 전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쳤고,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쳤고, 결혼상태일 때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물질적 박탈에서는 음식박탈, 의료박탈, 신용박탈 경험이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에 두루 영향을 미쳤고, 주거박탈 경험이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음주요인에서는 과음 후 해장술을 마신 경험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었고, 음주 후 좌절감이나 후회, 또는 필름이 끊긴 경험이 자살생각과 자살계획에 영향을 주었다. 위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물질적 박탈, 음주문제, 및 자살 위험에 취약한 사회계층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선행연구 고찰
1. 물질적 박탈과 자살
2. 음주와 자살
III. 연구방법
1. 분석자료 및 대상
2. 변수의 구성과 측정
3. 분석방법
IV. 분석 결과
1. 전체 가구원 표본의 시계열 변화추이
2. 물질적 박탈의 시계열 변화추이 및 함의
3. 문제음주의 시계열 변화추이 및 함의
4. 자살행위의 시계열 변화추이 및 함의
5. 패널 분석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미숙 Kim, Mee Sook.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 김윤영 Kim, Yun Young.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서비스정책실 부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