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alysis of the Youth Employment as a Regular Employee Utilizing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ses the determinants of the youth employment as a regular employee under the hierarchial structure of the individual-level variables (level 1 variable) and the regional-level variables (level 2 variable) utilizing a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The major results are the followings. The results on the level 1 variables revealed that the probability of being employed as a regular employee was higher in the case of man rather than woman, and national university graduates rather than private university graduates. Also it was found that as the ages and the GPA wer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ing employed as a regular employee was higher. And the results on the level 2 variables showed that the probability of being employed as a regular employee was higher as the population and the opening to application ratio in the region were higher.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employment rate led to the lower probability rate of the employment as a regular employee. This suggests that not only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regional characteristics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raise the quality of the youth employment.
한국어
대졸자의 정규직 취업여부가 취업지역 특성에 영향을 받을 경우, 취업자들이 특정 지역에 소 속되는 위계적인 자료구조를 갖게 되어 집단 내의 상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는 취업자의 개인수준 변수(1-수준)와 지역수준 변수(2-수준)의 위계적 자료구조 하에서 위계적 일반화 선형모형(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을 사용하여 대졸자의 정규직 취업여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수준 변수들의 영향력 을 살펴보면, 여자보다는 남자의 경우, 사립보다 국립의 경우, 그리고 연령이 많고 평균평점이 높을수록, 또한 취업목표와 취업훈련 경험이 있는 경우에 정규직이 될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났 다. 2-수준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특정지역의 인구가 많을수록, 그리고 구인배율이 높을 수록 정규직 취업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고용률이 높을수록 정규직 취업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규직으로 취업되어 고용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인 적특성 만이 아니라 지역의 특성도 같이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2.1 청년층의 정규직 취업여부
2.2 위계적 일반화 선형모형
III. 분석 자료 및 데이터 특성
IV. 위계적 일반화 선형모형 및 분석결과
4.1 분석모형
4.2 분석결과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