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구조화된 전문가 판단 모델(SPJ) 기반수용자 자살위험성평가프로토콜 개발 연구

원문정보

The Development of Risk for Inmates’ Suicide Protocol(RISP-20V1) based on Structured Professional Judgement Model(SPJ)

서종한, 김경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aimed to develop the risk of inmate’s suicide protocol and develope strategic management plan for the high-risk group. Based on both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last twelves‘ archives of completed suicide through 15 prisons, 20 suicidal risk factors were preliminarily extracted for the first draft and subsequently implemented beta-test toward suicidal attempters through 24 prisons. After this process, clinical professionals as panels intensively reviewed the first draft to draw the last version of the draft(referred as to Risk for Inmate’s Suicide Protocol; RISP-20), adding forensic formulation and experts’ final opinions with practical actions to the final session. Accordingly, the final version has four domains and 20 suicidal risk factors. Specifically, four domains were clinical(3 risk factors), acute(5 risk factors), chronic(10 risk factors), and environmental(2 risk factors). Some of risk factors(e.g., relationship, family history of suicide and so forth) also have sub-risk factors. Moreover, we examined both concurrent valid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RISP-20. In terms of concurrent validity, it ha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similar measures reflecting similar level of measurement conception. Specifically, four domains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four scales(e.g., DHS:SF, SIQ, CES-D, Loss of Social Status) except perceived stress scale(Cohen et al., 1983), whereas negative associations with reason for life(RFL; Linehan et al., 1983). As for interrater reliability, four domains showed ‘very good’ reliability across raters and 20 risk factors showed above ‘good’ reliability. On the whole, the results revealed that RISP-20 were ultimately approved for using in the forensic clinical fields, indicating low level of measurement error among raters. The implication, further studies and suggestion were additionally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용시설에서 수용자를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살위험성평가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고위험군에 대한 관리전략을 모색하게 하는데 있다. 자살위험요인 추출을 위하여 광범위한 수준에서 이전 문헌과 지난 11년간의 수용시설 자살완료사례 자료를 심층적으로 검토하였다. 이후 이를 근거로 1차 원고를 구성하였고 베타테스트 등을 거쳤다. 이 후 임상가를 중심으로 패널집단을 구성하여 논의 과정을 거친 후 최종 자살위험요인을 선정하였다. 이를 근거로 임상가가 내릴 수 있는 법사례개념화와 최종의견 단계 등을 추가하여 자살위험성평가프로토콜(RISP-20) 버전 1을 제작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자살위험요인은 4개 영역에 총 20개의 위험요인이다. 영역은 만성(10개 위험요인), 급성(5개 위험요인), 상황ㆍ촉발(2개 위험요인), 임상ㆍ병리(3개 위험요인)로 세분화하였고 일부 위험요인은 2〜3개의 하위 위험요인을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수렴타당도(CV)와 채점자간 신뢰도(IRR)를 알아보았다. 수렴타당도는 해당 위험요인과 비슷한 개념을 다루는 유사척도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4개 영역 모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Cohen et al., 1983)를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반면 자살하지 않는 이유 척도(RFL; Linehan et al., 1983)와는 부적상관을 보여 수렴도와 변별도 모두 답보하였다. 채점자간 신뢰도는 4개 영역 부분에서는 ‘아주 좋은’ 일관성을 보였고 20개의 위험요인 수준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최소한 ‘좋은’ 이상의 일치성을 보여 채점자간에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임상가가 위험요인을 근거로 내린 최종 전문가 소견에서 유의미한 수렴도를 확인할 수 있었고 평가자간의 신뢰도도 ‘좋은’ 일관성을 보여 주었다. 이는 평가자에 따른 측정오류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 향후 평가의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도구의 시사점과 제안점 등을 추가적으로 기술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1. 수용자 자살위험성과 평가
2. 개발과정에서 고려사항
3. 개발 과정 단계
Ⅱ. 연구 1. 수용자 자살위험요인 추출
1. 방법
2. 결과
Ⅲ. 연구 2. RISP-20 버전 1.0의 계량심리적 평가
1. 방법
2. 결과
Ⅳ. 논의
≪ 참고문헌 ≫

저자정보

  • 서종한 Sea, Jonghan. 사이먼프레이저대학교 심리학과 수석연구원
  • 김경일 Kim, Kyungil.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