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condary school principal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communication in organization,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eaching competency and the degree to which teachers actively participate i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o test the hypotheses, 960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belong to 44 schools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final data set was consisted of 817 responses. Statistical analyses to tes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using AMOS 22.0 and SPSS 22.0. The analysis showed that secondary school principal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and teaching competency had a direct positive relationship on participation i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chool principals’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for the activation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importance of organic interactions among the variables such as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eaching competency, and the communication in school organization.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Policy such as the Office of Education should develop and implement leadership programs which aimed at improving 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 skills of school principal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장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조직 내 의사소통, 학습조직문화, 교사의 교수역량 및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 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시교육청 소속 44개 중․고등학교를 선정하여 960명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에는 817부의 설문이 사용되었다. 통계적 검증은 AMOS 22.0과 SPSS 22.0 프로그램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중등학교장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조직 내 의사소통, 학습조직문화와 교사의 교수역량은 모두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중등학교장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발휘의 중요성이 입증되었으며 학교 조직에서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 학습조직문화, 교사의 교수역량 등 변인 간의 유기적 상호작용 중요성도 확인되었다.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교육청 등 정책부서는 관리자의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 적용, 교사의 교수역량 제고와 의사소통 활성화에 노력할 것을 제언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2. 조직 내 의사소통
3. 학습조직문화
4. 교사의 교수역량
5. 교사학습공동체
6. 변인들 간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모델의 설계
2.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
3. 측정 도구 및 자료분석
4. 통계모델의 설정
Ⅳ. 연구결과
1. 측정변인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2. 연구모형의 구조관계 분석
3. 연구모형의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고기철, 김경환, 조용범(2010). 서번트 리더십에 따른 팀워크가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 16(5), 149-163.
- 2Research Trends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Korea : A Thematic Analysis of Korean Journal Publications네이버 원문 이동
- 3구자원(2015).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 내 의사소통이 초등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4To inquire into the measures to building the effectiv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네이버 원문 이동
- 5The Development Process of Network-Based Community of Practice for Teachers`` Knowledge Sharing and Expertise Development: A Case Study of Indi-School네이버 원문 이동
- 6김혁동(2013).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학습공동체에 미치는 영향-동료교사 간 신뢰와 임파워먼트의 매개 역할 중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7김혁동, 윤상준, 이동배, 임재일, 주주자, 최경철, 황현정(2017). 교사학습공동체. 서울: 즐거운학교.
- 8김현(2017).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 교사학습공동체, 교사수업활동 간의 관계.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9The Significance and challenges of distributed leadership practice for building school-bas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네이버 원문 이동
- 10민석홍(2010). 교장의 관리적 리더십, 교육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