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재일조선문학회 기관지에 관한 연구 -민족문화운동 관점에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Journal of the Korean-Japaneses Joseon Literary Society -From a national culture movement perspective-

마경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fter liberation, several literary groups with the nature of the national culture movement joined in Japan in January 1948 to form the Korean-Japanese Joseon Literary Society. However, the Korean-Japanese Joseon Literary Society was unable to play an active role due to the suppression of the GHQ and gathered again as the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was concluded in 1953. The institutional journal of the ‘Korean-Japanese Joseon Literary Society’ is published by changing the magazine name to 『Munhakbo』in Japanese and『Joseon Literature』,『Joseon Literature and Arts』in Korean. The national movement group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literature groups were reorganized in conjunction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in Japan and the Korean peninsula. The reunion of 'Korean-Japanese Joseon Literary Society' was also based on the appearance of 'Jochongnyeon (pro-Pyeongyang fed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conversion of line'. In this paper, we are to fill up the blank of the research on literatur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in the 1950s by identifying the reality of conflict between ‘Jochongnyeon’ and ‘Mindan’, meaning of ‘Korean Writing’ Movement as a subject of national movement and the issue of promoting self-esteem as a ‘citizen of the Republic’ that 'Korean-Japanese Joseon Literary Society' tried to convey to Korean readers in Japan.

한국어

해방 후, 일본에서 1948년 1월 민족문화운동의 성격을 갖은 여러 문학단체들이 합류해서 ‘재일조선문학회’를 결성한다. 그러나 ‘재일조선문학회’는 GHQ의 탄압으로 활발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었고, 1953년 한국전쟁휴전협정이 이루어지면서 다시 재결집을 하게 되었다. ‘재일조선문학회’의 기관지는 일본어의『문학보』와 조선어의『조선문학』,『조선문예』로 잡지명을 바꾸어서 간행된다. 재일조선인민족운동단체와 문학단체는 일본과 한반도의 정치적 상황과 연동하여 재편성되었다. ‘재일조선문학회’의 재결집도 ‘조총련’의 등장과 ‘노선전환’ 에 의한 것이었다. 본고에서는 ‘재일조선인문학회’가 재일조선인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했던 ‘공화국공민’이라는 자부심의 고취문제와 민족운동의 주체로서 ‘조선어글쓰기’운동의 의미, ‘조총련’과 ‘민단’과의 갈등의 실상을 파악하여 50년대의 재일 조선인문학연구의 공백을 메꾸어 보려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조선문예』발행까지의 전개과정
2.1 『문학보』
2.2 『조선문학』
3. 재일조선 문학회 기관지 『조선문예』
3.1 노선전환
3.2 공화국 공민
3.3 조선어 글쓰기
3.4 '민단'과 '조총련'의 대립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마경옥 Ma Kyoung-Ok. 극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