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게임 리터러시(game literacy)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초등학교 도덕과 수업의 방향과 실제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Game Literacy Capability and Practice of Moral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이미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digital games have been broadly us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purpose of study is to present game literacy in moral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game is the one of leisure culture as good as play. However it is predominant opinion in society that game do harm to elementary school student.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have the capability to reflect morally of my game actions. Game literacy is to critical understand, analyse, and evaluate game message. The purpose of game literacy is to give youth more control of interpretations. We try to examine the direction and practice of moral education to cultivate game literacy capability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한국어

게임을 하는 초등학생들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게임 속 사이버 세계는 현실 세계와 구분되지 않는 초현실세계(hyper–real world)이다. 학생들은 게임 속 캐릭터를 모방하고, 도전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쟁과 협동 및 상호작용을 한다. 게임 행위 과정에서 체득한 태도는 일상적 삶에 영향을 주고 있다. 초등학생들 스스로 게임 행위를 조절하고, 창조적이고 성숙한 게임 이용자가 될 수 있는 게임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 게임 리터러시는 최근에 시작된 논의이지만 도덕과 교육 차원에서 지속적인 연구와 활용이 필요한 영역이다.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은 인터넷 및 스마트 폰 중독 등 정보윤리 교육의 한 영역으로 게임 리터러시 교육을 하고 있지만 미흡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이에 우리는 ‘게임을 하는 나’의 행위의 관점에서 게임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뿐만 아니라, 게임 행위 과정을 도덕적 관점에서 성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고, 게임을 주체적으로 선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초등학교 도덕과 수업의 방향과 실제를 고찰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게임 리터러시 의미와 초등학생들의 게임 행위의 동기와 특징
1. 게임·게임리터러시 의미와 특징
2. 게임 행위의 동기와 특징
Ⅲ. 도덕과 수업의 방향과 실제
1. 수업의 방향
2. 수업의 실제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미식 Lee, Mi-Sik. 부산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