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Therapeutic Music Activity on Depressi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Acculturative Stress Reduction of the Migrant Workers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rapeutic music activity on migrant workers' depressi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acculturative stress reduction. The subjects were 35 migrant workers in Gyeonggi Province.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the two :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19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2 sessions of therapeutic music activities consisting of 45 minutes per session, while the control group continued their daily activ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depression scor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differences in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or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differences in the acculturative stress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mea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apeutic music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acculturative stress reduction of migrant worker.
한국어
본 연구는 치료적 음악활동이 이주노동자의 우울,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그리고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N시와 P시의 외국인근로자 복지센터와 이주노동자센터의 35명으로 이 중 실험집단의 19명은 치료적 음악활동을, 통제집단의 16명은 센터에서의 일과적인 활동을 진행하였다. 실험전과 후에 우울 척도와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척도,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점수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우울 점수 차이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점수 차이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실험집단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점수 차이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치료적 음악활동이 이주노동자의 우울,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한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대상
2. 연구 과정
3. 측정도구
4. 활동 구성 및 내용
5. 자료처리
Ⅲ. 결과
1. 대상자간 동질성 검증 분석 결과
2. 우울점수 분석 결과
3.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점수 분석 결과
4. 문화적응 스트레스 점수 분석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