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PMO is recommended by government to be applied on public IT projects, to improve public IT project performances. However, the adoption is rather slow and limited due to low awareness and lack of references of PMO, resulting in limited budget allocations. To enhance the awareness level, it is important to systematically model the function and performance structure of PMO. Thus, in this study, we develop the performance reference model of PMO.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expert surveys, we identify the factors for managing/evaluating PMO per-formances, and model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formance factors. Based on the model, we present the basic structure of the PMO performance reference model, on top of which further detailed performance model can be built.
한국어
최근 국내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에 도입된 PMO 제도는 일부 기관의 중요 정보화사업에 적용되 어 왔으나, PMO에 대한 기관의 낮은 인식도, 참조사례 부족, 예산확보 여러움 등의 문제로 인하여 다 수 기관으로 확산 및 정착이 지연되고 있다. 이러한 PMO 제도를 성공적으로 정착 또는 확대해 나가 기 위해서는 기관 및 예산당국의 인식도를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인식도를 제고하기 위한 방 편 중 하나로서 PMO 성과를 관리 및 측정할 수 있는 성과관리참조모형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 구에서는 PMO 성과관리참조모형 수립에 가장 핵심이 되는 PMO 성과요소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하고 있으며, 선행연구 조사를 기반으로 성과요소 도출에 필요한 요인들을 식별하였으며, 설문조사 및 요인 간의 연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국내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에 적합한 성과요소들을 정보화사업 단계에 따라 도출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와 도출된 PMO 성과요소를 기반으로 향후 성과관리참조모형 수립을 위한 기본적인 구조를 수립하여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관련연구
2.1 PMO 기능 및 역할
2.2 정보화사업 성과
2.3 정보화사업 참여자 역량
3. 연구설계
3.1 연구모형
3.2 변수정의 및 측정항목
4. 설문조사 및 분석
4.1 설문조사
4.2 연구모형의 적합성 검증
4.3 PMO 성과요소의 도출
4.4 PMO 성과요소를 활용한 성과관리참조모형 수립방안
5. 결론
5.1 연구결과 및 시사점
5.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