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자정부 성과관리 체계의 개선

원문정보

Developing a New e-Government Performance Management Framework

오강탁, 홍필기, 김기환, 박찬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though a vast amount of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the e-Government performance, the performance management in Korean e-Government has yet to be clarified and refined. One of the major problems is that the e-Government performance management is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to different users and policy-makers, thus preventing efficient and interoperable evaluation of performance across government institutions. This study proposes a new framework for the performance management on the e-Government. The proposed framework is distinguished from others in three aspects. First, the proposed framework sets the ultimate goal of e-Government as being productive, transparent, participative, and sustainable, which is derived from e-Government Act. Second, the framework recognizes the hierarchy of performance management on e-Government. The top level is government-wide performance management, the second level is enterprise-wide performance management, and the bottom level is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The three levels of performance management need to be interlinked in terms of goals and metrics. Third, the framework emphasizes the life-cycle performance management from planning to implementation to evaluation and feedback. Throughout the life-cycle, the goals and metrics of performance management should be consistent and traceable.

한국어

전자정부 성과관리에 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전자정부 성과관리의 개념은 여전히 불명확 하다. 특히 정책입안자나 사용자들은 전자정부 성과관리를 자신의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해석하며, 이 로 인해 효율적이고 부처 간 호환성 있는 성과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자정부 관련 평가와 성과관리 체계에 대한 검토를 통해 전자정부 성과관리 프레임워크를 새롭게 정 립하고 성과관리 지표들의 재구성을 시도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전자정부 성과관리 프레임워크는 세 가지 측면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된다. 첫째, 전자정부법에서 규정한 전자정부의 목적인 생산성, 투명성, 민주성을 전자정부의 성과로 설정하였다. 둘째, 전자정부 성과관리는 세 개의 수준으로 이루 어진 계층적 구조를 지닌다고 보았다. 최상위 수준에는 정부차원의 성과관리, 중간 수준에는 부처차원 의 성과관리, 최하위 수준에는 개별 사업의 성과관리가 있다. 이러한 세 개 수준의 성과관리는 성과목 표와 성과지표 측면에서 서로 연계되어야 한다. 셋째, 제안한 프레임워크는 정보화 수명주기 전 단계 를 걸쳐 성과목표· 지표들 간의 일관성 및 추적성을 강조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및 관련 제도
2.1 국내 전자정부 성과관리 모형 및 제도
2.2 해외 전자정부 성과관리 모형
2.3 전자정부 성과관리 연구
3. 전자정부 성과관리 현황 및 문제점
4. 전자정부의 성과관리를 위한 지표체계 방안
4.1 지표체계의 기본 원칙
4.2 전자정부법이 추구하는 가치들의 개념과 지표로서의의의
5. 성과관리 지표체계의 적용방안
5.1 가치별 성과지표 체계안
5.2 성과관리체계 적용 시 고려사항
5.3 성과관리체계의 구현 방안
6. 결론 및 성과관리 발전 방안
References

저자정보

  • 오강탁 Kang-tak Oh. 한국정보화진흥원
  • 홍필기 Pilky Hong. 서울디지털대학교
  • 김기환 Kiwhan Kim.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박찬규 Chan-Kyoo Park.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