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공기관 유형에 따른 EA 서비스 품질과 성과 간 조절적 효과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ervice and Performance factors of Public EA

신다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2013 the government-EA has been awarded the UN Public Service Award. Because of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personalized integrated services based on the government-EA. In addition, Korea has won 3 times in a row in the evaluation of e-government services in 2014. EA can drive a performance to an agency and nation as long as EA is well utilized. And the EA performance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previous study. However, there is one question that has not been demonstrated so far. the question is that °×is it possible that every kind of government agencies can drive a performance by the EA?°± This study will give the answer for that question. In the result, those agencies which are local governments and agencies with low level of information resources do not have to adopt EA, since in those agencies, additional resources for the operation of their own EA management system such as budget, operators, information resources etc. is considered to be a burden. But it seems to be that local governments with high level of information resources can drive a performance by the EA. Those agencies need their own EA Management System. In the result, EA information are very important and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A performance so, there has to be alternatives which can manage EA information for government agencies.

한국어

2013년에 범정부 EA가 UN으로부터 공공행정상을 수여받았다. 이는 2000년대 초반 부터 한 국에서 본격적으로 구축한 전자정부의 저변에서 EA를 효율·효과적으로 활용한 성과를 세계로부터 인정받은 계기였다. 이후, 한국은 2014년에 UN으로 부터 전자정부 서비스부문에서도 우수상을 수여 받았는데, 이는 3회 연속 우승한 최초의 국가라는 의미가 있는 수상이였다. 이처럼 EA는 기관과 범정 부 차원에서 다양한 성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EA 성과모형을 개발하였으 며, 실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선행연구가 있었다. 그런데, EA가 모든 공공기관에 서 성과를 도출하고 있는가? 라는 질문에는 앞선 성과모형 연구에서는 해답을 찾을 수 없었다. 본 연 구에서는 EA 성과모형을 다양한 공공기관 유형별로 적용하여 공공기관의 조직의 성격, 규모, 기관의 유형에 맞는 시사점을 실증적 검증을 통해 분석 및 도출하고자 한다. 그 결과는 관련 정책을 수립하 는 기관에게는 실효성 있는 기여를, 관련 연구자들에게 학술적인 기여를 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
2. 이론적 고찰
2.1 EA 성과모형
2.2 조직성과에 미치는 자원에 관한 고찰
3. 연구 설계
3.1 연구모형
3.2 연구가설 설정
3.3 변수의 정의
4. 실증분석 및 분석결과
4.1 표본설계
4.2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 검증
4.3 가설 검증 결과
4.4 가설의 검증 결과 해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신다울 Daul Shin. 한국정보화진흥원 수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