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합동전장 환경에서 효과적인 Kill Chain 지원을 위한 표적정보전달 네트워크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an Effective Network of Information Delivery for Supporting Kill Chain in the Joint Battlefield Environment

이철화, 이종관, 구자열, 임재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ill Chain is getting attention due to North Korea's recent nuclear test and missile launches and has emerged the need for an early build up. In order to build a materialized kill chain, you should review the unique kill chain to support operations effectively using various sensors and striking weapon system. Especially, you need a suitable network to reduce a reaction time against the enemy attack under joint operations environment etc. Currently there are many communication ways(e.g. data link, voice, video and text message) used in operations through satellite, wired and wireless and so on. Now, this paper contains analysis on various means for target information exchange which are used in the kill chain. And appropriate network of the kill chain for target information transmission is addressed to confirm feasibility of its alternatives, which is developed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Finally, this paper is suggesting network and means of its building up for target information transmission of kill chain which can be implemented under the situation of joint battle field.

한국어

킬체인(Kill Chain)이 최근에 북한의 핵실험, 미사일 발사 등으로 인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조 기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킬체인 구축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센서와 타격무기가 효과적으로 작전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국형 킬체인 네트워크에 대하여 검토해야 한다. 특히, 산악지역 및 해양을 포함한 짧은 종심의 합동전장 환경에서 적 위협으로부터 공격 대응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적합한 표 적정보 전달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현재 작전에서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체계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 터, 이미지, 문자 등을 작전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킬체인에서 적용될 수 있는 표적정 보 전달 네트워크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네트워크의 정책적 대안에 대한 확증을 위해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적용하여 킬체인에 적합한 표적정보 전달 네트워크를 식 별하였다. 이를 통해 합동 전장 환경하에서 적용 가능한 킬체인 표적정보 전달 네트워크 및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관련연구
2.1 Kill Chain
2.2 합동전장환경의 킬체인 표적정보 전달 네트워크
2.3 분석 기법 고찰
3. 분석 수행
3.1 대안조사
3.2 평가 기준 검토
3.3 평가대상 선정
3.4 평가항목 정의
3.5 결정계층 검토
3.6 정보전달 네트워크 간 비교평가
3.7 가중치 검토
3.8 평가점수 계산
3.9 결과 분석
4. 종합평가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철화 Chul-Hwa Lee. 아주대학교
  • 이종관 Jong-Kwan Lee. 아주대학교
  • 구자열 Ja-Youl Goo. 아주대학교
  • 임재성 Jea-Sung Lim. 아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