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DIFs (Data Interchange Formats) are needed to enhance interoperability of physically distributed organizations in SBA (Simulation Based Acquisition) process. DIFs play a role as a template of DPDs (Distributed Product Descriptions) and provide capability to use information directly without data format interchange process by allowing access to DPDs, which include various information and M&S (Modeling & Simulation) resources. This characteristic is essential for interoperability in ICE (Integrated Collaborative Environment) based SBA. This paper proposes a framework for the DIF and outputs from each phase of acquisition process for configuration data related to design and manufacturing in SBA process - Conceptual Data Model, Logical Data Model, Physical Data Model and Physical DIF based on XML. Finally, we propose the DIF model architecture and demonstrate the implementation of DIF example based on it.
한국어
모의기반획득 과정에서 물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기관들 간의 상호운용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 서는 데이터 교환 서식(DIF: Data Interchange Format)을 필요로 한다. 데이터 교환서식은 분산제 품 기술서(DPD: Distributed Product Description)의 템플릿 역할을 하며, 분산제품 기술서의 각종 정보 및 M&S 자원을 입력 및 출력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변환 과정 없이 정보를 바로 이용할 수 있 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모의기반획득을 지원하는 통합협업환경이 상호운용성을 제공하 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모의기반획득의 제반 절차 단계 중에서 설계 및 제조와 관련된 형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터 교환서식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및 단계별 산출물을 제안하 고,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 교환서식 모델 설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제안된 데이터 교환서 식 모델을 기반으로 XML 기반의 데이터 교환서식 모델을 구현하고, 사례를 통하여 데이터 교환서식 을 이용한 데이터 변환을 시연함으로써 제안된 데이터 교환서식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배경
2.1 DIF의 정의
2.2 DIF 표현 형식
2.3 주요 국방 DIF 사례
2.4 공학급 DIF 필요성
3. 공학급 DIF 구축 프로세스 정의
3.1 DIF 개발 프레임워크 정립
3.2 프레임워크 산출물 구현
4. 공학급 DIF 구현 사례
4.1 공학급 DIF 모델 개발
4.2 DIF 기반 형상파일 변환 사례
4.3 기대 효과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