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타이포그래피 표현의 몰형식성에서 포스트모던적 숭고의 체험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Post-modern Sublime in Formlessness of Typography Expression

김동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ypography expressions, the departure from traditional norms and functionalist rules is diverse and widespread. The researchers define this situation as 'formlessness of typography' and use it as the central concept of this study. The argument is based on 'formlessness' which is the key mechanism of Lyotard's post-modern sublime and sublime experience. This study has noted that the typography role is expanding from a functional category of information transfer to a way of aesthetic experience expansion, and that the formlessness of typography expression can be an opportunity for the audience to experience sublim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ccasion of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in the mental form expression of typography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disagreement and the opposition due to the crack of the traditional form and the perception method. Second,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expression and the contents by the secondary-It is impossibility of bringing. Third, there are differences and heterogeneity of expressions resulting from intrinsic creation of style by subject rediscovery in typography. Fourth, the category and boundary of expression are event events outside perception that are experienced by erosion. In conclusion, the formlessness of typography expression is not bound to any existing rules and norms, but manifests itself in a wide variety of patterns. It triggers emotions characterized by tension and conflict, dynamic movement of frustration and overcoming in the audience, It enables the experience of sublime.

한국어

타이포그래피 표현에서 전통적 규범과 기능주의적 규칙으로부터의 이탈현상이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구자는 이 상황을 ‘타이포그래피의 몰형식성’으로 규정하고 연구의 중심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논거는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던적 숭고론과 숭고체험의 핵심 기제인 ‘몰형식성’에 두고 있다. 이 연구는 타이포그래피 역할이 정보전달의 기능적 범주에서 미적 경험 확장의 방식으로 확장되고 있음과 더불어 타이포그래피 표현의 몰형식성이 수용자에게 숭고 체험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데 주목하였다. 연구의 결과, 타이포그래피의 몰형식적 표현에서의 숭고의 체험의 계기는 첫째, 전통적인 형식과 지각방식의 균열로 인한 이견과 대립의 상충성이며 둘째, 이차적으로 파생되는 의미들에 의한 표현과 내용의 불일치가 가져오는 공약불가능성이다. 셋째, 타이포그래피에서 주체의 재발견에 따른 스타일의 내재적 생성이 낳은 표현의 차이와 이질성이고 넷째, 표현의 범주와 경계가 침식됨으로써 경험되는 인식 바깥의 사건성이다. 결론적으로, 타이포그래피 표현의 몰형식성은 기존의 어떤 규칙과 규범에도 얽매이지 않고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기에 수용자의 내부에서 긴장과 상충, 좌절과 극복의 역동적 움직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을 촉발하며 포스트모던적 숭고의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과 필요성
1.2. 연구대상과 방법
2. 포스트모던적 숭고체험의 계기들
2.1. 숭고론의 현대적 이해
2.2. 몰형식의 부정적 현시
2.3. 공약불가능성과 이견
2.4. 긴장과 불일치의 상충
2.5. 경험 바깥의 사건
3. 타이포그래피에서 몰형식성과 숭고 논의
3.1. 타이포그래피에서의 몰형식성
3.2. 숭고의 타이포그래피적 전유
4. 타이포그래피 표현의 몰형식성에서 숭고의 체험
4.1. 형식과 지각방식의 균열: 이견과 대립의 상충성
4.2. 의미의 이차적 파생: 표현과 내용의 공약불가능성
4.3. 스타일의 내재적 생성: 차이의 이질성
4.4. 범주와 경계의 침식: 인식 바깥의 사건성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동빈 Kim Dong Bin.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 시각디자인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