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보이는 수장고(Visible Storage)에 대한 주요쟁점 분석과 시사점

원문정보

Major Issues and Implications of Visible Storage

도경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have been turned from traditional museum storages to visible storages of several named museums since 2000 which opened their behind-the-scene storages to the public. Currently, this kind of open storage is now emerging frequently in Korean national museums which already opened six visible storage during 2017∼2018 and expect to have twelve visible storages until 2022. Visible storage, originally based on Museum of Anthropology in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in Canada, in fact, had been retained to be determined for a long period due to the dilemma between the risk of damage objects and extension of public access, and arguments to encourage publics own interpretation and exclusion of didactic explanation of museums. However these difficulties seem to be solved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devices since 2000 which encourage viewers to learn objects concerning their own interests by themselves, and it turns into a new phase. Reviewing of previous studies of visible storages for the last 40 years, I figure out the changed philosophical concepts and significant issues about visible storage from twelve articles and tried to draw the current controversy concerns. As a result, it comes up with three changed significant issues, which are a transfer from post-colonialism concept to self-reflexive, from informative knowledge issue to communicating knowledge, and concerns of visuality of visual storage. Regarding the result with current conditions of Korean, I find out the applicable and beneficial direction in conclusion.

한국어

2010년 전후 전 세계 뮤지엄들이 수장형 전시 시스템인 보이는 수장고, 개방형 수장고를 선보이고 있다. 국내 역시 국공립 뮤지엄을 중심으로 이를 빠르게 받아들이고 있는 추세인데, 2017∼2018년 7곳이 문을 연 데 이어 2022년까지 총 12곳의 개방형 수장고가 선을 보인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의 인류학 뮤지엄(Museum of Anthropology)에서 시작한 보이는 수장고는 소장품의 손상 위험과 공공의 접근권 확대, 관람객 주도 학습과 뮤지엄의 교육적 역할 등의 여러 딜레마 속에 오랜 시간 답보상태에 있어 왔다. 그러나 2000년 이후 디지털 기술 등의 발달로 그 동안의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또 다른 국면을 맞으며 뮤지엄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보이는 수장고 관련 지난 40년 동안의 해외 연구들을 분석하여 주요 쟁점의 변화와 최근 중요하게 거론되는 이슈를 종합 분석하여 주요 쟁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3가지 쟁점으로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에서 자기성찰(self-reflexive)로의 전이’, ‘전달하는 지식(informative knowledge)에서 소통하는 지식(communicating knowledge)으로의 전이’, ‘보이는 수장고(Visual Storage)의 보이는 것(Visuality)에 대한 우려’ 개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동향에 비추어 국내의 보이는 수장고가 지향해야할 방향성을 집어보았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국내동향 및 해외연구 현황
1. 국내 동향
2. 해외연구 현황
III. 주요쟁점 분석
1. 주요내용 분석
2. 주요쟁점
3. 시사점
IV.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도경민 Do, Kyeong Min. 박사과정,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