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oncept of Disability Arts in the context of Inclusive Arts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s to conceptualize Disability Arts and Disability Artists with basis of inclusive arts theory, which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policy. Inclusive Arts, emerged from UK, challenges conventional concept of disability which is considered as different language in relation to cultural diversity. Inclusive Arts reflects prevailing aesthetic discourse with productive criticism whereby it extends the border of aesthetic sphere. In particular, Disability Artists are differentiated from disabled people doing arts, as Disability Arts is an art form which socially and politically resists against the prejudice and acknowledgement by non-disabled people. Therefore, it should not be regarded neither benefit for nor social service for disabled. Our research could suggest different perspectives on disabled arts which set the standard for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for disabled artists
한국어
본 연구는 장애 예술에 관한 이론 연구를 통해 장애 예술에 대한 개념 및 속성을 정리하며,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에서 본격화된 장애 예술인 정책 수립을 위해 장애 예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 연구 대상은 영국의 포용적 예술(Inclusive Arts)로서, 이 이론은 장애에 대한 전통적 논의를 벗어나 장애 자체를 또 다른 언어로 간주하는 문화다양성 구도를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장애 예술의 이해나 접근에 대해 비판적 성찰을 행하며, 장애 예술의 독자적인 미학이 확장 요소로 작용함을 보여준다. 특히 포용적 예술이 장애 예술인과 비장애 예술인과의 협력구조를 갖게 되면서 제공되는 교류와 상호작용의 원리가 어떻게 현대예술에 새로운 미학적, 정치・사회적 쟁점을 드러내는지, 그러한 현대예술에 대한 기여가 어떻게 예술적 수월성을 갖게 되는지를 설명하면서 장애 예술의 속성을 재정립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가 우리 정책 구도에서 수용하게 될 장애 예술에 대한 관점을 달리 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실질적인 장애예술인 정책 실행에 일정한 기준점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목차
I. 서론
II. 포용적 예술의 탄생 배경 및 구도
1. 문화 다양성 구도에서의 장애인 예술
2. 장애인 인권운동에 따른 인식 변화
III. 포용적 예술의 이해
1. 포용적 예술의 정의
2. 포용적 예술계(inclusive arts field)의 이해
3. 포용적 예술의 세계적 동향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