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남북의 문화적 소통 : 화이부동의 관점에서

원문정보

Cultural Commun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 In Terms of Héérbùtóng(和而不同)

오기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ultural communication to be aimed at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To this end, the cultural communication type was classified by using Héérbùtóng(和而不同), an important concept in Eastern humanistic traditions. The types of communication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óngérbùhé(同而不和), Qiutongcunyi(求同存異), and Yìzhōngqiútóng(異中求同). Tóngérbùhé way of communication tries to seeking to unify the culture of the other party into our culture. Qiutongcunyi way of communication want to pursue the homogeneity of the nation aside from the differences. Yìzhōngqiútóng way of communication recognizes differences and actively pursues commonalities from a future planning perspective. Using these types, the study analyzed cultural communication cas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Based on these analyses, they presented a dual-driven cultural communication direction to pursue common ethnicity. And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proposed the Yìzhōngqiútóng ways of communication to create cultural commonaliti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study selected art, music, dance and film as the performing arts field for the creation of national commonality between the two Koreas. This paper believes that such measures will be able to achieve a more advanced culture by recognizing the otherness of other and seeking the mutual teaching and learning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남북의 통일을 위해 지향해야할 문화적 소통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동 양의 인문학적 전통에서 중요한 개념인 화이부동을 활용하여 문화적 소통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소통의 유 형은 동이불화(同而不和) 유형, 구동존이(求同存異) 유형, 이중구동(異中求同)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동 이불화형 의사소통은 상대방의 문화를 자신의 문화로 동일화시키고자 한다. 구동존이형 소통은 차이점을 유보하고 민족 동질성을 추구하고자 한다. 반면 이중구동형 소통은 다름을 인정하고, 미래기획적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공통성을 추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유형을 활용하여 그동안 남북한의 문화적 소통 사례를 분 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민족공통성을 추구하기 위한 이중구동의 문화적 소통 방향을 제시 하였다. 구체적으로 남북 간의 민족공통성 창출을 위한 공연예술 분야로서, 미술, 음악, 무용, 영화 분야를 선정하여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안은 타자의 타자성을 인정하고 이를 토대로 가르치고 배우는 소 통을 통해 문화적 차원의 새로운 지평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Ⅱ. 인문학적 문화 소통
1. 소통의 의미
2. 소통의 원칙: 화이부동(和而不同)
3. 화이부동의 유형
4. 화이부동의 지향점: 민족공통성 창출의 소통
Ⅲ. 문화적 소통 사례
1. 동이불화(同而不和)의 사례: 1985년 문화적 소통
2. 이중구동(異中求同)의 사례: 1990년~2003년 문화적 소통
3. 구동존이(求同存異)의 사례: 2018년 문화적 소통
Ⅳ. 민족공통성 증진을 위한 문화적 소통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기성 Ki-sung Oh. 경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