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성인지적 관점의 여성장애인 모성권(임신과 출산,자녀양육)보장을 위한 장애인복지관의 역할

원문정보

Supporting plan of disabled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Securing the Maternity Rights (PregnancyㆍChildbirthㆍChild Rearing) of Disabled Women from a Gender-Sensitive Perspective

최선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ording to the 2017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disabled appeared to be the service agency that disabled women use the most. This means that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disabled hold an important role in securing the maternity rights of disabled women. However, in the practice of welfare for the disabled, programs for securing maternity rights are inadequate, and the actual condition is not being surveyed. As a result, programs related to maternity rights based on the legal basis exist, but actual support services for resolving the difficulties related to maternity rights that disabled women experience are inadequate. Thus, the study suggests that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disabled should pay a central role in establishing the maternity rights of disabled women and provide support services such as developing a manual on basic information about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offering childbirth-related counseling, activating a self-help group, providing an individualized program for families, connecting with medical institutions, and supporting case management.

한국어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의하면 여성장애인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 기관이 장애인복 지관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복지관의 역할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장애인복 지실천 현장에서 모성권 보장을 위한 프로그램은 미비한 수준이며, 실태조사 역시 파악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이 제공해야 할 모성권 관련 프로그램 필요성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첫째, 보건복지부의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헌자료를 추가하여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관련 애로사항과 필요한 서비스를 분석하고 둘째, 모성권을 보장해야 하는 법적 근거와 법적근거에 기반한 현존하는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법적 인 근거에 기반한 모성권 관련 프로그램은 존재하고 있으나 여성장애인이 경험하는 모성권 관련 애로사항과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실질적 지원서비스는 미비한 수준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지역거점의 장애인 복지관은 성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확립을 위한 중심적 역할로서 임신, 출산, 양육에 대한 기초상식 정보제공을 위한 매뉴얼 개발, 출산관 련 상담서비스 지원, 자조모임 활성화 추진, 가족을 위한 개별화된 프로그램, 의료기관 연계, 사례관리 지원 등의 구체적인 서비스 지원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문헌고찰
2.1 성인지적 관점에서 보는 모성권 확보의 어려움
2.2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관련 주요실태 :
3. 모성권 관련 법적 근거
4. 법적 근거에 기초한 모성권 관련 프로그램 현황
4.1 가사도우미(홈헬퍼) 지원 서비스
4.2 장애아가족 양육지원
5. 장애인복지 프로그램 (성프란치시꼬장애인종합복지관 예시)
6. 결론: 모성권(임신․출산․자녀양육)보장을 위한 장애인복지관의 역할
6.1 임신, 출산, 양육에 대한 기초상식 정보 제공을위한 매뉴얼 개발
6.2 출산에 대한 불안감 감소를 위한 전문화 된 상담서비스
6.3 사회적 관계 연결 (자조모임 활성화 추진)
6.4 여성장애인가족이 필요로 하는 개별화된 프로그램 지원
6.5 장애여성 모성권 보장를 위한 협력체로서의 의료기관 연계 체계 구비
6.6 장애정체성 확립을 위한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
6.7 여성장애인 전담 부서를 통한 사례관리 강화
7.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최선경 Sun-kyoung Choi.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