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울산덧배기의 시원과 전승 현황

원문정보

A Study on the Origin of Ulsan Dutbeki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Its Inheritance.

최흥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tbeki is a local dance which has been transmitted by customs in Kyongsang area since ancient times. This is a formless dance that each of the villagers enjoyed with their own colors at seasonal farming events in the past. Today, however, Dutbeki is disappearing with a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In this situation, the researcher is going to study the origin and present condition of Dutbeki, local dance of Ulsan area, to protect and transmit it to the future. The method is as follows. Regarding the origin of Ulsan Dutbeki, the researcher reviewed the records of life from the past in Ulsan area.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transmission, the current status of the natural handover of Dutbeki in Ulsan area and the current status of it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researcher, a native of Ulsan, are discussed. The folklorist Jung Sangbark has established Dutbeki, which had been called as a generic name, as a local intangible culture by attaching a local name to it. As a result, Dutbeki in Ulsan area was designated as Ulsan Dutbeki and the value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obtain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has made an accomplishment of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Ulsan by establishing the origin of Ulsan Dutbeki and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its inheritance.

한국어

덧배기는 예로부터 경상도 지역에서 풍속에 의해 전래된 향토춤이다. 이 춤은 과거 세시 농경행사에서 마을 사람들이 자신들만의 색채를 향유하며 추던 비형식적인 춤이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급격하게 변화한 사회 환경과 함께 이 덧배기도 사라져 가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연구자는 울산의 향토춤인 덧배기를 보호하고 전승하기 위하여, 울산덧배기의 시원과 전승 현황을 고찰하였다. 그 방법으로 울산덧배기의 시원은 울산지역에서 과거부터 전해진 생활상의 기록을 고찰하였다. 전승 현황은 최근까지 울산지역에서 덧배기가 자연 전승된 현황과 울산토박이인 연구자의 현장 참여에 의한 전승 현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민속학자 정상박은 그 동안 범칭으로 불리었던 덧배기에 지역 명을 붙여 그 지역의 무형문화로 정립하였다. 이에 따라 울산지역의 덧배기도 울산덧배기로 그 명칭이 정하여져 무형문화유산의 가치를 가지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이 연구의 성과는 울산지역의 덧배기에 대한 시원을 정립하고, 그 전승 현황을 고찰함으로 울산 무형문화유산의 정체성을 확인한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울산덧배기의 시원
Ⅲ. 울산덧배기의 전승 현황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흥기 Choi, heung-kee. 경상대학교 강사, 민속무용학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