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권지예의 「꽃게무덤」에 나타난 ‘욕망’과 ‘에로티즘’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the Desire and Eroticism in 「Crab Grave」 by Gwon Jiye

이은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rab Grave」is a novel about the inner conflict of a character. Man’s desires are represented by food, body and sex motifs. If you look at the surface structure, it’s a storyline of memories and reflections during his proofreading. Her memory lives vividly through images of hearing, smell and touch. Calibration is a device that enables you to objectively examine people. These subplots justify her desire and reveal her past and present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fter all, it intersects with Main Plot, which completes the inner workings of the problematic character, creating a deep structure. Mainplots are made up of pieces of memory and connect causalally with desire fulfillment and lack. It is a strategic mechanism to artistically shape the writer’s consciousness of love and life. The author uses objects, backgrounds, and illustrations to explore the nature of love. Materials are closely linked to expand symbolism, metaphor and meaning. The character’s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are largely represented by defense mechanisms, mimic psychology, and subjectivity. And it portrays nature in which life and fear coexist. Character reaches the totality of eroticism because it has experienced terrible pain. Errotism is a narrative strategy that allows one to explore characters and lead to conflict and change. In addition, desire inconsistencies and finiteity lead to death erotism in pleasure. After al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eing is a natural phenomenon that pulls out the will to live from the divided inner being. It also reveals the writer’s sense of living a full life thinking of the natural movement of death. Various factors have aesthetically embodied the tragedy of love, which resulted in death eroticism, implying the psychology and circumstances of the character.

한국어

「꽃게무덤」은 실연의 상처로 고통 받는 인물의 내적 갈등을 그린 소설이 다. 인물의 욕망은 식욕과 성애 모티프로 결합되어 사랑과 생명에 대한 사 유를 구체화한다. 유사성과 차별성을 내포한 계열항의 연쇄로 의미가 심화 되며 다채로운 삽화가 리듬과 패턴을 만들어 인물의 실체를 부각시키면서 내적 조응을 이룬다. 대상을 통해 주체가 완성되는 인물 관계망은 모방 심 리, 대상 대체 간접화로 해석되며 동물성을 내포한 자연을 재현시킴으로써 관계의 본질을 탐색한다. 인물은 사랑이 희생되는 고통을 체험함으로써 사 랑의 본질, 에로티즘의 총체성에 다다른다. 에로티즘은 변화와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서사 장치로 인물의 욕망 탐색 을 용이하게 만들며, 대상 불일치와 유한성은 탐닉에서 죽음의 에로티즘으 로 치닫는 갈등의 극대화를 만든다. 대상(그녀)은 주체(그)를 보완하고 주체 (그)는 대상(그녀)을 완성시키는데 인물들의 관계는 분열된 실체로부터 ‘생 명’을 끄집어내는 자연스런 현상으로 ‘죽음’이라는 자연적 움직임에 대한 작가 인식을 드러낸다. 결국 작가가 선택한 다양한 삽화와 요소들은 인물의 심리와 상황을 암시하면서 죽음의 에로티즘으로 귀결되는 사랑의 비극성을 미학적으로 형상화한다.

목차

국문 요약
1. 들어가며
2. 상실과 허기의 감각적 연쇄고리
3. 욕망(식욕/성욕)의 순환과 탐미적 에로티즘
4. 매혹적인 육체와 죽음의 에로티즘
5.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은하 Lee Eunha. 한남대학교 국어국문・창작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