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 일반논문 ]

<삼생록>의 서사 구성과 사유방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basis of thought of Samsaeng-rok

김민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base of thought of Samsaeng-rok. It’s narrative structure based on the thought of samsara and karma. Of course, these thoughts came from the Buddhism. But also, it became the general recognition that of common people. Exactly speak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Samsaeng-rok based on the Buddhism but it also contains common people’s desires and attitudes toward life. In fact, the heaven world could not explain by the thought of Buddhism. The heaven only exist for the control of the earth. It means that the heaven set only for the earth life and it had not the meaning of existence by itself. The heaven became the space of meaning after Manchun and Hyangnan accomplished their love. Samsaeng-rok did not insist on doctrines of the Buddhism but it was created by the convergence of doctrines of Buddhism and general recognitions of common people. The writer of Samsaeng-rok affirmed general people’s desires by the accomplishment of Manchun and Hyangnan’s love. He adapted the thought of samsara and karma for the narrative structure and for the affirmation of common people’s desire and love. The narrative orientation of Samsaeng-rok is the affirmation of sincere love for each other and happiness in the earth. It was suggested by their three times samsara in this work. And the readers were able to enjoy the resolve of depression that caused by many and diverse difficulties existing in this earth. This was the gist of Samsaeng-rok.

한국어

<삼생록>은 윤회전생과 인과응보 관념을 기반으로 한 순환구조로 통속적 욕망에 대한 지향이 보이는 작품이다. <삼생록>의 이런 특징은 불교적 사유와 함께 당대 일반인의 낙관적 세계 전망을 반영한다. <삼생록>에 등장하는 천상계는 지상계를 끊임없이 구속하고 제한하는 곳이면서 지상계의 삶을 긍정하기 위한 허구적인 설정이기도 하다. 천상계는 만춘과 향난의 욕망이 지상계에서 최대한으로 달성한 후에야 의미를 가지는 공간이다. 천상계의 존재가 가지는 권력과 작품 내적 기능은 크지만, 그 자체만으로는 결코 긍정될 수 없다. 하지만 <삼생록>은 불교 교리에 집착한 작품이 아니다. 업과 인연을 부정하는 불교적 사유를 드러내지 않는다. 불교적 사유는 서사구조를 짜는데 활용될 뿐, 작품의 주된 내용은 애정, 환락, 부귀공명의 달성이다. 보통의 인간이 지니는 욕망을 긍정하고 그것을 마음껏 실현할 수 있는 계기로의 구성 방식이다. <삼생록>은 불교적 사유를 구조적 층위에서 활용하여 향유층의 기대 의식을 내용으로 담아냈다. 이런 점에서 <삼생록>의 서사 지향은 진실된 욕망을 긍정한다. 당시 하층민의 통속적 사유방식을 근간으로 가상의 현실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인간의 욕망을 무한히 긍정함으로써 향유층이 직면한 현실적 억압을 해소한 작품인 셈이다. 인간 본능에 대한 긍정을 통한 현실적 억압 기제의 해소에 서사적 지향이 존재한다.

목차

[ 국문초록 ]
1. 머리말
2. <삼생록>의 서사구조와 사유기반
3. <삼생록>의 현세 긍정과 서사 지향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민정 Kim, Min-ju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진흥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